[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크게 고조된 가운데 런던에서 자금이 엑소더스를 연출하고 있다.
대형 은행권을 중심으로 유럽의 금융허브인 런던에서 프랑크푸르트를 포함한 주요 도시로 유동성이 썰물을 이루고 있다.
무질서한 노 딜 브렉시트부터 2차 국민투표 실시와 영국의 EU 탈퇴 무산까지 다양한 시나리오가 거론되는 사이 런던의 금융권은 이미 짐을 싸는 움직임이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의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합의안 부결 결과가 발표된 후 국회의사당 앞에서는 반(反) 브렉시트 시위 속 한 친(親) 브렉시트 시위자가 배너를 들고 있다. 배너에는 ‘반역죄 메이’라고 쓰여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23일(현지시각) 블룸버그에 따르면 도이체방크를 포함한 5개 은행이 7500억유로(8550억달러)에 달하는 자산을 런던에서 프랑크푸르트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이 같은 움직임이 다른 은행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 런던에서 유럽 주요 도시로 자금 엑소더스는 앞으로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다.
익명을 요구한 소식통은 도이체방크가 최소 4000억유로의 자금을 런던에서 빼 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JP모간 역시 앞으로 1~2년 사이 2000억유로 규모의 자산을 런던에서 다른 국가로 옮길 계획이다. 이는 당초 밝힌 금액의 두 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지난 2016년 영국의 국민투표에서 브렉시트가 결정됐을 때만 해도 금융업계는 단순히 유럽 주요 도시에 법적 요건을 갖춘 사무실을 갖추기만 하면 유럽 고객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를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유럽중앙은행(ECB)과 독일 분데스방크 및 금융 감독 당국이 일제히 충분한 자원을 갖출 것을 주문하고 나서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단순히 유럽 주요 도시에 허울뿐인 사무실을 여는 것만으로는 런던에서 했던 것과 같은 비즈니스를 지속할 수 없다는 얘기다.
특히 트레이딩 비즈니스의 이동이 활발하다. 브렉시트 시한인 3월29일 이후 트레이딩 사업 부문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실제 거래가 이뤄지는 지역에 인력과 자금을 포함한 모든 자원을 둬야 하기 때문이다.
CME 그룹은 지난해 11월 하루 2000억유로 규모의 레포 사업 부문을 런던에서 암스테르담으로 옮길 예정이라고 밝힌 데 이어 단기 자금 거래 플랫폼인 브로커텍 역시 3월18일부터 이전하기로 했다.
이 밖에 트레이드웹과 마켓액세스 홀딩스 등 상당수의 업체들이 런던의 트레이딩 비즈니스를 유럽 다른 도시로 옮기는 움직임이다.
이 밖에 독일의 3위 펀드업체인 유니온 인베스트먼트는 런던의 스왑 포지션을 청산하고 프랑크쿠르트의 유렉스 청산결제소에 새로운 포지션을 구축하기로 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