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순서 변경해 '마리 퀴리' 인간적 내면 강조한 뮤지컬 '마리 퀴리'
캐릭터 추가해 메시지 강조한 뮤지컬 '루드윅: 베토벤 더 피아노'
[서울=뉴스핌] 황수정 기자 = 역사 속 인물들은 언제나 콘텐츠의 소재가 된다. 특히 위대한 업적이나 인생의 굴곡이 많은 인물일수록 더 다양하게 재해석된다. 대부분 사실에 기반하지만, 극적 전개 혹은 작품의 메시지를 주기 위해 재가공되는 것도 일반적이다.
최근 뮤지컬 '마리 퀴리'와 '루드윅: 베토벤 더 피아노' 등을 통해 역사 속 인물들이 무대 위에 되살아났다. 두 작품 속에서 '퀴리 부인'으로 더 잘 알려졌던 '마리 퀴리'와 위대한 작곡가 '베토벤'은 어떻게 그려졌으며, 실제와는 어떤 점이 다를까.
뮤지컬 '마리 퀴리' 공연 장면 [사진=쇼온컴퍼니] |
뮤지컬 '마리 퀴리'(연출 김현우)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자로 꼽히는 퀴리의 삶을 다룬 작품으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선정한 2018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에 선정됐으며,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창작 뮤지컬을 기획·개발하는 '글로컬 뮤지컬 라이브' 시즌2에 선정되기도 했다.
'마리 퀴리'는 여성에게 보수적이었던 19세기 말, 과학자로서 노벨상을 두 번(1903년 노벨물리학상, 1911년 노벨화학상)이나 수상한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이다. 작품에서는 '마리 퀴리'의 업적보다는 그 뒤에 가려진 '인간' 마리 퀴리의 이야기를 담는다. 라듐을 발견했지만 여성 과학자로서 겪는 차별과 아픔, '라듐'으로 인해 건강을 잃게 되는 직공들을 보며 고뇌하는 내면에 집중한다.
뮤지컬 '마리 퀴리' 공연 장면 [사진=쇼온컴퍼니] |
실제로 '마리 퀴리'가 라듐을 발견해 남편과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것은 1903년이었고, 남편은 3년 뒤인 1906년 마차 사고로 인해 갑자기 세상을 떠난다. '라듐'이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기 시작한 것은 1917년에 이르러서다. '라듐'이 산업적으로 활용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는 뜻이다. 또한 1920년대에는 마리 퀴리의 딸에게도 이상 징후가 나타났으며 '마리 퀴리' 또한 여러 방사능 피폭 증상으로 고통을 겪었다.
작품은 '마리 퀴리'의 전기적 사실과 시간적인 순서가 맞아떨어지지는 않지만, '라듐'의 발견과 '라듐 걸스' 사태를 연결하며 가장 영광의 순간 가장 큰 딜레마에 직면하는 '마리 퀴리'의 모습을 그린다. 무엇보다 최근 페미니즘 열풍과 맞물려 대학로에서 흔치 않은 여성 서사 중심 작품, 여성 주인공이 타이틀롤이라는 점도 의의가 있다.
뮤지컬 '루드윅: 베토벤 더 피아노' 공연 장면 [사진=아담스페이스] |
뮤지컬 '루드윅: 베토벤 더 피아노'(연출 추정화)는 베토벤과 조카 카를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새롭게 창작된 팩션드라마로, 우리가 익숙히 생각하던 장애를 딛고 음악가로 대성하는 일반적인 스토리가 아닌 그의 빗나간 열정의 극치를 보여준다.
작품의 중반부까지는 베토벤이 모차르트와 비교하는 엄격한 아버지 밑에서 자라온 사실, 청력을 잃고 좌절하다 새로운 창작으로 재기하기까지 간결하지만 핵심 포인트만 살려 무대 위에 올린다. 추정화 연출은 "베토벤이 고통받는 이야기가 미리 선행돼야 카를과의 이야기가 가능할 것 같았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사실과 가장 다른 부분은, '마리'라는 여성의 존재다. 당시 시대상황으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당돌한 여성으로, 아무도 못말렸던 베토벤에게 당찬 훈계를 하는 인물이다. 뿐만 아니라 베토벤이 카를에게 집착하게 된 이유부터 베토벤이 잘못을 뉘우치게 만들고, 작품의 전체적인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기도 한다.
뮤지컬 '루드윅: 베토벤 더 피아노' 공연 장면 [사진=아담스페이스] |
'마리'라는 가상의 인물은 매우 다양하게 변주된 베토벤 관련 콘텐츠들 사이에서 차별점을 주는 가장 큰 요소다. 자칫 밋밋하거나 예상가능한 스토리로 흘러갈 수 있을 법한 소재에 새로운 자극이 첨가되면서 작품의 개연성과 재미, 명료한 주제까지 전하며 관객들에게 큰 호평을 받고 있다.
한 공연업계 관계자는 "실존 인물을 소재로 한다고 해도 현재에 사는 우리가 과거의 모든 사건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상상력에서 기반한 창작은 필수다. 역사 속 인물의 이미지나 업적 등과 크게 다르지 않은 선에서 가공의 사건, 인물이 더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작품의 완성도, 관객에게 전달되는 매력은 이런 부분에서 판가름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hsj12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