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악화 해결할 미래 성정 동력...사회적 대타협 기구 해법 모색 절실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카풀 논란이 확대일로를 걷고 있습니다.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등 택시 4단체는 지난 20일 여의도 국회앞에서 10만명(주최측 추산)이 모여 카풀 반대 집회를 열고 마포대교를 행진하며 ‘결사항전’을 외쳤습니다. 카카오를 넘어 ‘문재인 정권 타도’까지 나오는 상황입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전국택시노조 등 택시 4개 단체 회원들이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카카오 카풀 반대 택시 생존권 사수 3차 집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18.12.20 mironj19@newspim.com |
카카오는 정부 요청이 있다면 국회와 국토부, 택시 4단체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대타협 기구’에 동참에 대화로 문제 해결에 나섰다는 방침입니다. 하지만 내년 정식서비스 실시를 준비중인 카카오와 카풀 도입 전면 반대를 요구하는 택시업계의 입장 차이가 커 원만한 해결을 쉽지 않아 보입니다.
여기서 한가지 의문점이 생깁니다. 카카오가 충분히 예상 가능한 택시업계 반발에도 불구하고 카풀을 강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업계 전문가들은 생존을 위한 혁신 서비스 선점을 이유로 보고 있습니다.
카풀, 더 나아가 차량공유 서비스의 등장은 필연적입니다. 이번 사태에서 알수있듯 택시 업계의 경쟁력은 낮고 국민 여론마저 차갑게 보고 있습니다. 기사들의 고령화와 지속적인 감차 움직임, 그리고 자율주행 등 기술 발전까지 더해지면서 전통적인 택시산업은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카풀과 차량공유는 글로벌 시장에서 위세를 떨치고 있습니다. 선두주자인 우버의 기업가치만 134조원. 관련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4년까지 무려 168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
이미 택시, 대리 등 국내 모빌리티 시장을 독점한 카카오 입장에서는 서비스 탭만 확장하면 카풀 시장을 모두 확보할 수 있고 규제완화에 따라 등장 가능한 차량공유 시장도 빠르게 공략 가능합니다. 현지 기업과의 제휴를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도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카카오는 지난해 매출 1조9723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1654억원에 그쳤습니다. 영업이익률은 8.38%. 경쟁사인 네이버 25.20%(매출 4조6785억원, 영업이익 1조1792억원)과 격차가 매우 큽니다.
카카오는 광고와 검색 등 기존 핵심 산업은 점차 한계를 드러내고 있고 게임과 엔터 시장은 시장 자체가 작습니다.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승부수를 걸어야 할 지점은 인공지능(AI), 불록체인 등 첨단기술과 공유경제 등 혁신 서비스 시장이라는 분석입니다. 카풀은 단순한 ‘돈’이 아니라 공유경제 시장을 선점할 미래 성장 동력인 셈입니다.
결국 카카오가 카풀에 집착하는 건 자신들에 미래이기 때문입니다. 이른바 ‘혁신’을 선점할 절호의 기회를 쉽게 포기할리 없습니다. 여론까지 우호적이고 법적 문제도 없으니 내년 정식서비스는 어떤 갈등이 생겨도 강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입니다.
업계의 관심은 사회적 대타협 기구로 쏠리고 있습니다. 카카오가 참여한다면 정부와 국회, 기업과 관련 사업이 모두 대화하는 자리가 만들어집니다.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카풀 논란. 해결을 위한 유일한 방법은 ‘양보’와 ‘배려’가 아닌가 싶습니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