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생산능력 70만기로 확대
11일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제2공장 신축 기공식
[충주=뉴스핌] 조아영 기자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다가올 수소경제 시대에 업계 '퍼스트무버'로서 수소사회를 이끈다는 비전을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까지 총 7조6000억원을 투자해 수소전기차 생산체제를 확대할 계획이다.
![]() |
11일 현대모비스 충주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제2공장 신축 기공식에서 시삽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길형 충주시장, 이시종 충청북도지사,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 정진행 현대자동차 사장, 임영득 현대모비스 사장. [사진=현대차] |
현대차그룹은 11일 충북 충주에 위치한 현대모비스 공장에서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제2공장 신축 기공식을 열고, 수소 및 수소전기차 중장기 로드맵인 'FCEV 비전 2030'을 발표했다.
이날 기공식에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은 "머지않아 다가올 수소경제라는 신산업 분야의 '퍼스트무버'로서 수소가 주요 에너지인 수소사회를 선도해 나가겠다"며 "협력사와 동반 투자를 통해 미래자동차 산업의 신 성장기반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에 발맞춰 수소에너지를 활용한 다양한 산업영역으로의 진출도 추진할 것"이라며 "타 완성차, 선박, 철도, 지게차 등 운송분야와 전력생산, 저장 등 발전분야에 연료전지시스템을 공급하는 신사업 추진을 통해 글로벌 리더십을 지속 확보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까지 총 7조6000억원을 투자해 수소연료전지 스택 생산 능력을 완성차 50만대 분을 포함해 총 70만기 규모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세계 첫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대량 생산체제를 갖춰 수소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현대차그룹은 오는 2030년 연간 판매 기준으로 글로벌 수소전기차 시장이 약 300만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각국의 환경 규제 강화 등으로 연료전지에 대한 우호적인 시장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만큼, 운송 수단 및 발전 분야 등에서 연료전지시스템 수요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될수록 차량을 비롯한 전 부문에서 에너지 수요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청정에너지를 사용하는 무공해 연료전지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서 역할을 할 수 있고 현대차그룹이 그 중심에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수소전기차 대중화 및 인프라 구축을 포괄한 수소 생태계 형성에 국회와 정부, 지자체들도 보조를 같이하며 수소경제사회 조기 진입 전망이 밝아지고 있다.
이날 기공식에 참석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 기공식은 본격적인 수소경제에 들어가는 첫 단추로 기대하고 있다"며 "수소차 시장에서 민간기업들이 나아가면 정부가 뒷받침하고 생태계 조성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2022년까지 수소전기차 1만6000대 보급 및 수소충전소 310개 설치를 목표로 투자와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울산시, 서울시 등도 수소버스 시범 운영에 나서는 한편, 전국 6개 지자체들도 내년부터 수소버스를 시내버스에 투입할 예정이다.
likey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