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2013년부터 퇴직예정자 대상 '퇴직지원교육' 제공
퇴직 앞둔 경찰관 "교육 받았지만 진로설계 도움 안 돼"
교육 수용 인원도 부족..."퇴직자 10명 중 6명은 교육 못 받아"
[서울=뉴스핌] 노해철 기자 = 퇴직을 앞둔 경찰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퇴직교육프로그램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 내용이 형식적이고, 참여할 수 있는 인원 자체도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7일 경찰청에 따르면 퇴직을 앞둔 경찰 공무원은 지난 2013년부터 재취업과 진로 설계를 지원하는 교육을 받고 있다. 교육은 전문업체 용역을 통해 진행하는데, ‘퇴직 설계과정’과 ‘전직 심화과정’이 있다. 두 과정은 각각 정년퇴직 예정 5년 이내 경찰관과 퇴직 예정 1년 이내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다.
경찰공무원은 업무 특성상 잦은 야간근무와 높은 사고 위험 등으로 퇴직 준비가 어려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해 퇴직예정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 |
| 경찰 로고 |
◆“퇴직금으로 투자하라고?”...현실 동떨어진 퇴직교육
문제는 교육프로그램 중 다수가 퇴직 후 인생 설계에 실질적인 도움이 안 된다는 점이다.
경찰청의 ‘하반기 퇴직 설계과정 안내’를 보면 4박 5일 동안 진행하는 퇴직설계과정 중 재취업 관련 프로그램은 ‘재취업·창업·귀농귀촌 등 정보습득’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생애연표그리기’, ‘수지가 맞는 삶(재무)’, ‘활력 있는 삶’ 등 형식적인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이와 관련해 퇴직을 앞둔 A 경찰 공무원은 “퇴직자 교육을 받아봤지만, 큰 도움을 받지 못했다”며 “퇴직 후 투자를 하라고 권유하는데, 그것도 돈이 있어야 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내년 6월에 정년퇴직하는 B 경찰 공무원도 “퇴직 후 무엇을 할지 지금도 잘 모르겠다”며 “천편일률적인 교육보다는 수요를 파악해서 이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이라고 털어놨다.
이에 대해 경찰청 관계자는 “퇴직 설계과정은 퇴직예정자가 미래를 구상하는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며 “반면 전직 심화과정에서는 이력서 작성 방법이나 재취업 분야를 설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는 퇴직 경찰 공무원의 오랜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신현기 한세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일본에서는 퇴직 경찰관을 치안센터에 배치하거나 유해동물 퇴치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면서 “그분들이 범죄 예방 등에 기여한다면 어마어마한 사회적 잠재가치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제한된 교육 인원...“교육 못 받는 퇴직예정자 다수”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인원도 제한적이다. 베이비붐(1955년생~1963년생) 세대 경찰관의 퇴직이 본격화됐지만, 그들 중 다수는 퇴직 준비를 위한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제복을 벗는다.
경찰통계연보에 따르면 경찰공무원 정년퇴직자는 △2013년 135명, △2014년 1599명, △2015년 1613명, △2016년 1853명, △2017년 1861명을 기록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14년 퇴직자 수는 1955년생이 정년 60세를 채우면서 전년보다 10배 넘게 늘었다.
반면 퇴직교육프로그램이 수용하는 인원은 여기에 크게 못 미친다. 올해 경찰청은 퇴직 설계과정을 통해 826명의 퇴직예정자에게 교육을 제공했다. 특히 전직 심화과정 수료자는 424명에 그쳤다. 경찰 공무원 10명 중 6명은 교육을 받지 못하고 퇴직한다는 게 경찰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신현기 교수는 “베이비붐 세대의 경찰 공무원 퇴직에 대해 경찰청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면서 “6억 정도의 현재 예산으로는 퇴직을 앞둔 분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퇴직 경찰관이 재취업을 하면 그들이 내는 세금으로 재분배가 이루어지는 원천이 될 수 있다”며 “예산을 늘리고 퇴직을 앞둔 분들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찰청 관계자는 “퇴직교육 확대에 대한 요구는 경찰 내부에서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면서 “예산 확보를 위해 관계부서를 설득하고 퇴직교육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un90@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