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isException: Connection timed out in /var/www/html/app/Controllers/News/View.php:45 Stack trace: #0 /var/www/html/app/Controllers/News/View.php(45): Redis->connect() #1 /var/www/html/vendor/codeigniter4/framework/system/CodeIgniter.php(832): App\Controllers\News\View->index() #2 /var/www/html/vendor/codeigniter4/framework/system/CodeIgniter.php(419): CodeIgniter\CodeIgniter->runController() #3 /var/www/html/vendor/codeigniter4/framework/system/CodeIgniter.php(326): CodeIgniter\CodeIgniter->handleRequest() #4 /var/www/html/public/index.php(37): CodeIgniter\CodeIgniter->run() #5 {main} [IPO] 염동현 네오셈 대표 "SSD 테스터 글로벌 No.1…2020년 'Big ATE' 도약"
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증권·금융 증권

속보

더보기

[IPO] 염동현 네오셈 대표 "SSD 테스터 글로벌 No.1…2020년 'Big ATE' 도약"

기사입력 : 2018년12월06일 15:28

최종수정 : 2018년12월06일 15:28

오토메이션 기술 통합 신제품군 사업화"반도체 테스트 전 분야 진출"
스팩 합병 내년 초 코스닥 상장…"글로벌 메이커로 성장 교두보"
글로벌 Top 5 기업 모두 고객사로 확보…"국내 유일, 비교 불허"

[서울=뉴스핌] 정경환 기자 = "SSD 테스터 세계 1위를 넘어 반도체 테스트 전 분야에 진출, 2020년에 'Big ATE'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

염동현 네오셈 대표는 6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반도체 테스트 업계에서 한 평생을 다 보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염 대표는 이어 "SSD 테스터 분야에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현재의 상황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신제품을 개발, 급변하는 반도체 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향후 테스트 포트폴리오에 자동화(Automation) 기술을 통합하는 신개념의 새로운 제품군을 창출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핵심 제품 개발 기술을 기반으로 고속 MBT 시장과 메모리 웨이퍼 테스트 시장에 참여하면서 웨이퍼(Wafer) 테스트, 스피드(Speed) 테스트 등 반도체 테스트 전 분야에 진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SD(Solid State Drive) 테스터(Tester) 분야 글로벌(Global) 1위 네오셈이 대신밸런스제3호스팩과 손잡고 2019년 초 코스닥시장에 입성, 빅 ATE(Automatic Test Equipment, 자동 검사기) 기업으로의 힘찬 걸음을 내딛는다.

네오셈은 국내외 글로벌 반도체 메이커를 고객사로 둔 반도체 테스트 시스템 제조기업이다. SSD 테스트 시스템은 산업자원부에서 세계일류상품으로 인증받는 등 이미 국내와 세계시장에서 성능과 품질을 인정받았다는 평가다. 네오셈은 그 외에도 반도체 검사 장비인 MBT(Monitoring Burn In Tester)와 디램 모듈(DRAM Module) 자동테스트 장비를 만들어 글로벌 탑(Top) 반도체 제조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염 대표는 "HDD(Hard Disk Drive) 대비 4배 이상 빠르고 안정성이 뛰어난 SSD가 본격적으로 시장에 보급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지각변화가 생기고 있다"며 "SSD 가격 하락에 따른 폭발적인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염동현 네오셈 대표 <사진=네오셈>

네오셈에 따르면, SSD는 고성능과 저전력, 고용량 그리고 다양한 폼 팩터(Form factor) 등 모든 면에서 HDD를 압도하는 장점이 있다. 다만, 높은 가격 때문에 그동안 경박단소(가볍고·얇고·짧고·작은), 동작속도 등이 중요한 노트북 컴퓨터 등 소비자 분야 위주의 수요가 많았다.

하지만, 주요 구성요소인 낸드(NAND) 가격 하락 등으로 최근 들어 HDD와 SSD의 가격 차이가 크게 줄면서 소비자 분야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서비스 등 기업 분야에서도 SSD 채택이 급격히 증가, 데이터 스토리지 전 분야에서 SSD의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

실제 2012년 SSD의 기가바이트(GigaByte)당 가격은 HDD 대비 10배 이상 높았으나, 2016년에 4배 수준으로 떨어진 데 이어 올해에는 2배 수준까지 좁혀졌다.

염 대표는 "2020년에는 SSD와 HDD의 가격이 같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SSD의 가격 경쟁력 확보로 향후 SSD의 수요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SSD 시장 급팽창에 따라 테스트 시스템 판매도 그만큼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본다"고 했다.

반도체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올해 세계 SSD 출하량은 2억3500만 대로 HDD의 3억7000만 대에 못 미친다. 그러나 2021년에는 SSD가 3억6000만 대로 3억3000만 대의 HDD를 추월하는 등 향후 연평균 18.5%의 성장이 지속될 전망이다.

네오셈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 변화를 감지한 2007년부터 NAND 테스터와 SSD 테스터 개발에 착수,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왔다. 종업원의 40% 정도를 연구인력으로 구성하면서 매년 매출액의 12%에 달하는 연구개발비를 투자, 2009년 SSD 테스터의 자체 개발 및 양산에 성공했다.

아울러 네오셈은 성공적인 글로벌 M&A를 통해 차별화된 기술과 인력 추가는 물론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해 왔다. 2007년과 2015년 각각 미국 태니시스 테크놀로지(TANISYS TECHNOLOGY)와 플렉스타 테크놀로지(FLEXSTAR TECHNOLOGY)를 인수, 이를 통해 기존사업과의 시너지를 확대하고 제품 풀 라인 업(Full Line-Up)을 구축하면서 급변하는 시장 니즈(Needs)에 대응했다.

염 대표는 "네오셈의 소프트웨어(Software)는 스토리지 업계의 표준으로 사용 중이며, SSD의 제조사뿐만 아니라 SSD를 사용하는 고객들도 우리 장비를 표준장비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을 정도"라며 "SSD 테스터 시장이 고난이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임을 감안할 때 이 분야에서 네오셈의 탁월한 시장지위는 향후에도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경쟁사 대비 확고한 비교우위의 기술력으로 네오셈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글로벌 탑 텐(10) 제조사 고객군을 확보, 긴밀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염 대표는 "매출처 다변화는 고객 투자 사이클 및 반도체 산업 경기 변동에 따른 매출 변동성을 최소화시킨다"면서 "네오셈은 이와 같은 안정적인 영업을 바탕으로 SSD 테스터 분야에서 세계 시장 리더로 도약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네오셈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매출액이 연평균 62.1% 성장했다.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25억원, 88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20.7%다. 올해 3분기 누적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61억원, 64억원이다.

한편, 네오셈은 오는 17일 대신밸런스제3호스팩과의 합병 승인을 위한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합병기일은 내년 1월 19일, 합병신주의 코스닥 상장일은 내년 1월 31일이다. 주관사는 대신증권이다.

염 대표는 "스팩 합병을 통한 코스닥 입성은 국내를 넘어 세계 정상으로 향하는 출발점"이라며 "높은 성장성과 수익성을 겸비한 네오셈만의 경쟁력을 확실하게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ho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