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연내 실질적 타결이 어려울 것이라고 13일 지지통신이 보도했다.
중국과 한국, 일본, 인도,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등 16개국은 오는 14일 RCEP 관련 정상회합을 열고 '2019년에 완전한 합의'를 목표로 한다는 방침을 확인할 전망이다.
통신에 따르면 12일 열린 각료급 회합에선 관세 철폐·감소 등 주요 분야에서 참가국 간의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해 연내를 목표로 했던 실질적 타결 표명은 미뤄지게 됐다. 내년 총선거를 앞둔 인도가 많은 분야에서 신중한 자세를 보였고, 중국고 전자상거래나 지적재산권 등 분야에서 타국과 평행선을 달렸다.
세코 히로시게(世耕弘成) 일본 경제산업상은 각료급 회합을 마친 후 기자단을 만나 "논의는 나올 얘기는 거의 다 나왔다"며 "결정나지 않은 부분은 그대로 남은 상태"라고 말했다.
협의가 난항을 거듭하면서 13일 예정됐던 각료급 회합의 절충은 취소되고, 대신 14일 정상 간 회합에 "2019년에 완전 타결"을 목표로 한다는 안이 제출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년엔 인도 외에도 인도네시아와 태국이 선거를 진행한다. 협상 관계자는 "타협점을 찾기가 한층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했다.
미국이 보호주의적인 움직임을 강화하는 가운데 RCEP는 다국 간 자유무역을 확대하는 틀로 여겨지고 있다. 지지통신은 "하지만 협상이 길어져 타결의 동력을 잃어버릴 경우 (RCEP가) 표류될 우려가 높다"고 전했다.
![]() |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11월 13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 각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
keb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