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3GW‧해상풍력 1GW급 총 4GW
2022년까지 태양광 2.6GW 우선 준공
해상풍력 2026년까지 새만금 앞바다에 163기 설치
태양광에 6조원, 해상풍력에 4조원 총 10조원 민자사업
[세종=뉴스핌] 서영욱 기자 = 오는 2026년까지 전북 새만금 일대에 원자력발전소 4기를 대체할 수 있는 총 4G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단지를 조성한다.
3GW급 태양광 발전단지 조성에 6조원, 1GW급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에 4조원 총 10조원 사업비를 민간투자로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새만금 태양광발전단지 위치도 [자료=새만금개발청] |
30일 새만금개발청과 전라북도에 따르면 이날 오전 전북 군산 유수지 수상태양광 발전소에서 ‘새만금 재생에너지 비전 선포식’이 열렸다.
이날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을 ‘세계 최고의 재생에너지 클러스터’로 조성해 재생에너지 산업을 선점하고 선도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정부는 군산 앞바다와 새만금 일대에 3GW급 태양광 발전단지와 1GW급 해상풍력단지, 0.1GW급 연료전지 발전단지 총 4GW급의 재생에너지 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총 소요면적은 38.29㎢로, 새만금면적(409㎢)의 9.36% 수준이다.
정부는 우선 태양광 발전사업을 먼저 시작하고 나머지 발전사업은 새만금 개발사업 현황에 맞춰 단계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오는 2022년까지 2.6GW 규모의 태양광 발전단지를 우선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태양광 사업은 공항 소음과 고도제한이 있거나 개발 수요가 낮은 곳을 대상으로 추진된다. 먼저 추진되는 곳은 새만금개발청이 소유한 새만금 내측 5개 용지다. 산업연구용지 동측(0.3GW)과 남측(0.8GW), 국제협력용지 남북도로 서측(0.5GW)과 동축(0.8GW), 4호 방조제 내측(0.1GW)이다.
농림수산식품부가 보유한 방수제 사면과 환경생태용지에도 0.4GW 규모의 태양광 발전단지를 검토 중이다.
새만금 방조제 외측 바다 위에 세워지는 해상풍력단지는 오는 2026년까지 모두 177㎢ 해상 위에 1GW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오는 2022년까지 2조원을 들여 1단계로 5MW급 풍력발전기 100기를 건설하고 2026년까지 2단계로 8MW급 63기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민간투자로 4조원을 확보할 방침이다.
오는 2020년까지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위한 풍황 조사와 기본‧실시설계를 완료하고 2021년부터 환경영향평가를 마무리하고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오는 2022년 1단계 사업이 마무리되면 2023년부터 2단계 사업에 착수한다.
해상풍력 발전단지 위치도 [자료=새만금개발청] |
정부는 지역상생협력 방안으로 재생에너지 사업에 주민이 일정부분 지분 참여하거나 협동조합 또는 펀드를 통해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건설 사업에 지역업체와 인력을 참여시키고 지역기자재를 우선 구매토록 할 계획이다.
전북과 새만금개발청은 이날 새만금 재생에너지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송변전계통 조기 구축을 위해 관계기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조성에 이어 수상태양광과 해상풍력 제조산업단지를 건설해 물류공급을 위한 해상풍력 배후 항만을 구축하고 제조기업을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또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국가종합실증연구단지와 해상풍력 핵심부품 성능평가센터, 융합시험인증평가센터, 인력양성센터와 같은 연구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기술사업화와 인력양성을 지원해 새만금이 재생에너지의 혁신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새만금 재생에너지 사업으로 지역 경제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새만금 권역 태양광‧해상풍력 발전단지 건설에 약 10조원의 민간 투자자금이 유입되고 연 200만명의 건설인력이 참여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새만금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향후 10년간 재생에너지 연관 기업 100개를 유치하고 일자리 10만개 창출, 25조원의 경제유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 봤다.
새만금개발청 관계자는 “새만금 재생에너지 사업은 새만금에서 가시적으로 추진되는 첫 사업으로 새만금 개발의 돌파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세계적 규모의 재생에너지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연관 기업의 투자가 활성화되고 발전수익 일부를 용지조성에 재투자해 새만금 내부 개발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