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광고

속보

더보기

스마트폰 트렌드를 주도하는 삼성디스플레이 OLED

기사입력 : 2018년09월27일 08:18

최종수정 : 2018년09월27일 08:18

삼성디스플레이가 이끄는 대화면 풀스크린 OLED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올해 하반기 플래그십 제품들에 OLED를 사용한 대화면 풀스크린을 대거 탑재하면서 플렉시블 OLED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된다. 플렉시블 OLED는 뛰어난 화질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LCD와 달리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기 때문에 베젤리스, 노치, 엣지 등 다양한 화면 디자인이 가능하다.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플렉시블 OLED를 이용해 새로운 스마트폰 디자인을 꾀하며 본격적인 경쟁에 돌입했다.

플렉시블 OLED[사진=삼성디스플레이]
플렉시블 OLED[사진=삼성디스플레이]

삼성은 지난해 갤럭시S8을 시작으로 풀스크린 OLED를 채택한 스마트폰 시리즈를 본격적으로 선보였다. 기존의 16:9 화면비에서 벗어나, 파격적인 18.5:9의 와이드한 화면비를 채택해 사용성과 영상 몰입도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전면의 물리 버튼을 없애는 등 스마트폰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했다. 특히 플렉시블 OLED를 사용해 베젤 최소화와 입체적인 풀스크린 디자인을 구현하며 디스플레이 세대교체를 이끌고 있다.지난 8월 삼성전자가 공개한 갤럭시노트9은 최신 OLED를 탑재해 전작보다 한층 더 진화된 기술로 등장했다. 역대 갤럭시 노트 제품 중 가장 큰 6.4인치 화면에 QHD+(2960×1440)해상도의 플렉시블 OLED를 탑재한 노트9은 더욱 슬림해진 상하단 베젤을 구현해 화면 몰입도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색정확도와 야외시인성을 갖춰 미국 화질평가기관인 디스플레이메이트로부터 역대 최고 등급인 '엑설런트 A+'를 부여받았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오포가 지난 6월 프랑스에서 공개한 '파인드X'도 6.42인치 대화면 플렉시블 OLED를 탑재하며 엣지형 풀스크린 트렌드에 가세했다. 최고 수준의 풀스크린 베젤리스 폰을 구현하기 위해 양측면이 구부러진 엣지 형태를 도입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가 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별도의 3D 팝업 카메라를 도입해 스마트폰 전면에서 순수하게 화면이 차지하는 비율이 무려 93.8%에 달한다.

갤럭시노트9[사진=삼성디스플레이]

지난 6월 중국 비보가 출시한 스마트폰 'NEX' 역시 6.59인치 풀스크린 OLED를 탑재했다. 상하단 베젤이 각각 1.8mm, 4.3mm인 초슬림 베젤을 구현한 덕에 스마트폰 화면 차지율도 91.2%로 높다. 특히 이 제품은 스크린사운드캐스팅 기술을 사용해 OLED 디스플레이가 자체 진동하여 음향을 전달하고, 디스플레이 내장형 지문 인식(FoD)을 최초로 채택하는 등 다양한 최신 기술을 탑재하며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근 신제품 발표 행사를 통해 차세대 아이폰을 선보인 애플도 프리미엄 모델인 '아이폰XS'와 'XS Max'에 OLED를 탑재하며 풀스크린 대화면 디스플레이 트렌드를 강화했다. 아이폰 XS와 XS Max는 각각 '슈퍼레티나 디스플레이'라고 이름 붙인 노치 타입의 5.8인치, 6.5인치의 풀스크린 플렉시블 OLED를 사용했다. 특히 6.5" 아이폰 XS Max는 애플이 선보인 역대 아이폰 시리즈 중 가장 큰 사이즈로, 기존 제품보다 1인치나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플렉시블 OLED를 사용한 덕에 베젤이 최소화 돼 완제품 크기는 기존의 5.5인치 아이폰8플러스와 유사한 수준을 구현했다.

애플은 지난해 아이폰X를 통해 처음으로 노치 타입의 풀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선보였다. 플렉시블 OLED를 통해 완벽하게 구현된 노치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극대화하면서 스마트폰 디자인에 큰 반향을 일으켜, 이후 샤오미 Mi 8 Pro, 화웨이 P20 Pro, 원플러스 6 등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를 중심으로 한 풀스크린 스마트폰 출시에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용 OLED는 뛰어난 화질은 물론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어 스마트폰 폼팩터의 다양성을 구현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좌우 측면을 꺾거나, 베젤을 최소화할 수 있어 최근 트렌드인 대화면 풀스크린 구현에 매우 적합해 주요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앞다투어 채용되는 등 많은 인기를 누리며 시장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은 2019년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의 평균 사이즈가 사상 처음으로 6인치에 이르며 대화면 트렌드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플렉시블 OLED는 대화면 풀스크린 스마트폰 구현에 가장 적합한 디스플레이"라며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위치를 더욱 확고하게 차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료제공=삼성디스플레이]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