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국가주석의 신 실크로드 프로젝트 'BRI'에 정면 도전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트럼프 행정부가 1천억원대 규모 ‘인도-태평양’ 투자 프로젝트를 공개하자 이른바 G2(미국과 중국)의 아시아 패권 다툼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전세계 1~2위 경제국의 무역전쟁이 아시아 태평양 대륙을 무대로 한 힘겨루기로 확대되는 양상이라는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중국 정부가 미국의 보호주의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대표적인 신흥국이 브릭스(BRICS,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의 결집을 주문한 가운데 G2의 견제가 한층 가열되는 모습이다.
30일(현지시각) 1억1300만달러 규모의 ‘인도-태평양’ 투자 프로젝트를 공개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해당 지역과 경제적 연결 고리를 크게 확대할 뜻을 밝혔다.
그는 ‘인도-태평양’의 지리적인 개념에 대해 미국 웨스트 코스트에서 인도 서부 해안까지 포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5000억달러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신경전이 거세진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미 상공회의소가 주최한 ‘인도-태평양 비즈니스 포럼’에서 폼페이오 장관은 “미국은 태평양 지역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원한다”며 “이 지역에서 지배력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정 국가가 아시아 지역에 지배력을 행사하는 상황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는 발언으로 중국을 겨냥한 속내를 드러냈다.
지난 2013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취임 뒤 발표한 소위 ‘신 실크로드’ 프로젝트인 BRI(벨트 앤드 로드 이니셔티브) 정책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이날 포럼에서 폼페이오 장관의 연설에 앞서 브라이언 후크 수석 정책 보좌관이 기자들에게 “BRI를 통한 중국의 지역 개발 계획을 중국을 위한 것인 데 반해 미국은 가장 건강한 형태의 투자 모델로 접근할 것”이라고 말해 이 같은 주장에 설득력을 더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투자 계획이 특히 인도를 향한 트럼프 행정부의 상징적인 제스쳐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관세 폭탄을 맞은 중국이 인도와 관계 개선을 꾀하는 상황에 경제적, 군사적 연대를 강화하겠다는 의도가 깔린 것이라는 판단이다.
CNBC를 포함한 외신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해부터 중국을 중심에 둔 ‘아시아 태평양’이라는 용어 대신 ‘인도-태평양’이라는 문구를 사용한 것도 전략적이고 외교적인 정책 방향이 내재됐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한편 G2 관세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과 미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에 실망감을 드러냈던 아시아 주요국은 이번 투자 결정에 일정 부분 안도감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무역 마찰에 따른 직간접적인 타격이 모두 상쇄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또 인도를 포함한 해당 국가의 행보에 시선이 집중된 가운데 무역시장 새 판 짜기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