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2030 4차 산업혁명 '인력수요전망' 발표
기술 혁신, 산업·직업별 고용 변화 가속화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기술혁신에 따른 산업·직업별 고용 변화의 가속화로 2030년 92만명의 일자리가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반면 감소하는 일자리는 80만명으로 총 172만명의 고용변화가 예상됐다.
고용노동부는 8일 4차 산업혁명위원회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2030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전망’을 발표했다.
<자료=고용노동부> |
이번 전망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 모습을 기준전망과 혁신전망 2가지 시나리오로 나눠 진행했다.
기준전망은 4차 산업혁명을 포함한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해 특별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고 최근의 성장 추이가 지속되는 상황을 반영했다.
이에 반해 혁신전망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국내·외 환경변화의 적극적 대응에 뒀다. 경제·산업구조 혁신을 통한 성장유도 등의 상황을 가정한 경우다.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할 경우를 가정하면 혁신전망(2017~2030년 연평균 2.5%)에서는 기준전망에 비해 높은 수준의 경제성장(연평균 2.9%)이 지속될 전망이다.
기준전망은 저출산 ·고령화 가속, 생산성 둔화 등 공급여건 악화와 국가 간 경쟁 심화로 수출여건이 악화되는 등 성장률 둔화로 나왔다.
산업·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에서는 2030년 취업자 수가 경제성장에 따른 인력수요 증가로 기준전망보다 12만명 더 증가할 전망이다.
초기 빠른 디지털화로 취업자 수가 기준전망보다 낮지만, 2027년 이후부터는 성장률 효과로 증가세다.
4차 산업혁명 관련산업의 수요확대와 경제성장에 따른 고용증가 산업에서는 기준전망 보다 취업자 수가 46만명 증가했다. 그러나 자동화 등 기술혁신에 따른 생산성 증가로 일자리 대체가 일어나는 고용감소 산업에서는 34만명 줄어들 전망이다.
고용증가 산업은 정보통신서비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전기·전자·기계산업 등이 4차 산업혁명 선도산업으로 분류됐다. 즉, 해당 업종에서 취업자 증가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도·소매, 숙박·음식업, 운수, 공공행정 등에서는 기준전망보다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인터넷 상거래, 서비스 무인화에 따라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 감소폭이 클 전망이다.
직업별 전망에서는 기술 발전과 밀접한 고숙련 직업군이 기준전망보다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하지만 일자리 대체 가능성이 높은 저숙련 직업군은 크게 둔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고용증가 직업은 정보·통신 전문가, 공학 전문가, 과학기술 전문가 등이다. 매장 판매직, 운전·운송관련직, 청소경비 단순 노무직 등은 감소 직업군이다.
디지털 유통 채널 확대 및 판매 서비스 자동화도 매장판매직 등 관련 직업 취업자 수를 감소시키는 직업으로 분류됐다.
자율 주행 및 자동화된 운송시스템 발달은 운전·운송 관련직 취업자 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이 밖에 스마트 공장 등 생산 공정의 자동화는 단순 반복 직무가 많은 기계제조·조작 등 관련 직업의 취업자 수가 감소할 전망이다.
[뉴스핌 Newspim] 정성훈 기자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