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인상 이후 통화정책 파급경로 확인해야
[뉴스핌=허정인 기자] 새해 첫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가 연 1.50%로 동결됐다. 지난 11월 금리인상 이후 통화정책의 파급효과를 점검하면서 향후 추가인상 시기를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김학선 기자 yooksa@ |
한국은행은 18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50%로 동결했다. 테이퍼링의 신호탄이 됐던 지난해 11월 금리인상(연 1.25%→1.50%) 이후 두 달째 유지하는 중이다.
우리나라 경기가 점차 회복기조를 굳히는 중이지만 금리인상 후 뚜렷한 개선세가 추가적으로 확인되지 않아, 당분간 동향을 살필 것으로 관측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1월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추가 금리인상은 신중히 결정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또 금통위 내 경기에 대한 시각이 엇갈리는 점도 이번 동결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11월 인상 당시 조동철 위원이 동결 소수의견을 냈다.
물가는 금통위의 의도만큼 오르지 않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한해 소비자물가는 전년비 1.9% 상승했다. 다만 금통위가 중요시하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전년비 1.5% 오르는 데 그쳤다. 따라서 섣불리 금리를 올리기보다는 당분간 물가의 흐름을 지켜본 후 추가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11월 의사록에서 여러 위원들이 물가둔화를 우려했으므로 향후 추가인상은 물가경로를 감안해 결정될 것”이라며 “급격한 금리인상은 부작용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은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계부채 역시 걸림돌이다. 작년 3분기 말 기준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55.5%를 기록했다. 이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면 가계소비와 투자 등 내수가 위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화강세가 이어지고 있어 한은의 고민이 깊어진 것으로 보인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최근 원화절상으로 수출이 얼마나 영향을 받을지 지켜봐야 하고, 수입물가 하락 추이도 살펴야 한다”며 동결 배경을 분석했다.
이 밖에 문재인 정부의 정책효과, 최근 국제유가 상승,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 등 대내외 변수도 고려해야 한다.
한편 지난 16일 금융투자협회가 채권시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200명 설문, 100명 응답) 응답자의 99.0%가 이달 기준금리 동결을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11월 인상 이후 본격적인 금리상승기에 접어들며 추가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은행의 신중한 입장이 유지되고 있어 1월 기준금리는 동결될 것”이라고 답했다.
[뉴스핌 Newspim] 허정인 기자 (jeon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