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 효과 상쇄·원화 강세·투자 부진
11월말 韓기준금리 인상여부도 변수
[뉴스핌=조동석 기자] 올해 우리나라는 3%대 경제성장률 달성이 예상되고 있다. 3년만이다. 그러나 내년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금리 인상과 내수 위축이 중심에 서 있다.
내년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2.5~2.9% 수준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2.8%), 기업은행경제연구소(2.7%), 한국경제연구원(2.7%), LG경제연구원(2.5%), 현대경제연구원(2.5%) 등이다.
JP모간(2.9%), 골드만삭스(2.9%), HSBC(2.6%) 등도 대체로 내년 2% 후반대의 성장률을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내년 경제성장률이 2.5%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고, 한국은행도 2.9%의 전망치를 유지하고 있다.
정부는 내년에도 3%대 성장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성장률 전망치는 사실 목표치라고 봐야 한다.
이런 전망의 배경에는 우선 정부의 추경 효과가 걷힐 것이란 점이다. 또 투자 증가세가 약해지고, 수출 증가세만큼 잘 살아나지 않는 내수 경기가 결국 우리 경제 회복세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정책과 맞물려 건설 물량이 줄고, 정부의 SOC(사회간접자본)예산이 축소되면서 건설투자는 마이너스(-)까지 추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설비투자 증가세도 올해보다 꺾일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IT산업을 빼놓고 '수출 호황'을 누리지 못하는 제조업 전반의 설비투자가 부진해질 수 밖에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한은도 올해 14%로 전망하는 설비투자 성장률이 내년 2.8%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원화 강세도 우려스러운 부분으로 꼽힌다. 달러/원 환율은 지난 10일 기준 1117.1원에 마감하며 연중 최저점(1112.8원)에 근접했다. 달러화 대비 원화 가격이 비싼 상황이 지속되면 취약한 수출 기업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오는 30일 열리는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가 오를 것으로 시장은 내다보고 있다. 한국경제 최대 변수 중 하나다.
민간소비 회복세가 더딘 상황에서 가계빚 부담이 늘어 소비심리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사진=기재부> |
[뉴스핌 Newspim] 조동석 기자 (dsch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