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1일 ITC 표결 앞둬…제재 가능성
[뉴스핌=최유리 기자] 미국으로 수출하는 삼성·LG 세탁기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 수입제한조치) 표결이 보름 앞으로 다가오면서 가전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오는 21일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수출한 세탁기로 미국 가전업체가 입은 피해에 대해 구제조치 방법 및 수준을 결정한다.
이는 앞서 미국 가전업체 월풀이 제기한 세이프가드 청원 심사 결과 자국 산업이 심각한 피해를 보고 있다고 판정한 데 따른 조치다.
강성천 통상차관보가 11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서 열린 ‘미국 세탁기 세이프가드 관련 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이형석 기자 leehs@ |
표결이 2주 앞으로 다가오면서 삼성·LG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과 수입량 제한 등의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이 경우 연 10억달러(약 1조1500억원)에 이르는 미국 세탁기 매출에 막대한 타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업계에선 표결 결과에 따른 시나리오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을 찾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송대현 LG전자 H&A사업본부장(사장)은 지난 6일 창원R&D센터에서 가진 기자간담회를 통해 "11월 중순 이후 (제재 조치가) 어떤 방향으로 갈지 나올 것 같다"며 "예단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 여러 경우의 수에 대해 내부 시나리오를 갖고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전반적으로는 제재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세이프가드 발동에 대한 최종 결정권자가 트럼프 대통령인 만큼 보호 무역 기조에서 크게 벗어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표결 결과에 따라 ITC가 대통령에게 제채 조치를 건의하면, 대통령 승인을 거쳐 세이프가드가 발동된다.
가전업계 관계자는 "각 사 입장을 전달한 1차 공청회에서 분위기가 팽팽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ITC가 피해를 인정한 만큼 강도의 문제이지 어떤 식으로든 제재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ITC가 한국산을 포함한 수입 태양광 패널·전지에 대해 최대 35% 관세를 부과하도록 권고하기로 결정한 것도 불안감을 높이는 요인이다.
세탁기를 넘어 다른 가전으로 통상 압박이 번질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들린다. 미국 가전업체 월풀이 청소기까지 타깃으로 삼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우성제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수석연구원은 '미국 가전산업 현황 및 이슈'라는 보고서를 통해 "월풀 입장에선 냉장고보다 청소기가 훨씬 더 중요한 품목이기 때문에 세이프가드 추가 요청은 예정된 수순"이라고 내다봤다.
월풀의 미국 내 청소기 생산량(57만대)과 시장 점유율(25%)이 세탁기를 훨씬 웃돌아 이를 지키기 위한 추가 조치에 나설 것이라는 설명이다.
일각에선 최종 표결까지 기대감을 놓을 수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2012년 월풀이 냉장고 세이프가드를 청원했을 때 ITC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당시 ITC는 냉장고 덤핑 혐의에 대해 자국 산업이 구체적으로 피해를 입거나 위협을 받지 않았다며 미국 상무부의 관세 부과 판정을 뒤집었다.
한 업계 고위 관계자는 "2012년에는 ITC가 업계 소명을 듣고 이를 반영했다"면서 "합리적인 판단을 한다면 국내 업계에 긍정적인 판결에 내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재계는 국내 기업이 미국 투자에 적극 나선 점도 충분히 고려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세이프가드가 현실화될 경우 삼성·LG의 현지 영향력 위축이 미국 공장 가동과 고용 확대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삼성전자는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약 3억달러를, LG전자는 미국 테네시주에 약 2억5000만달러를 투자해 가전 공장을 짓고 있다.
헨리 맥매스터 사우스캐롤나이나 주지사는 공청회에서 "이번 건이 세이프가드 대상이 된다고 보지 않는다"며 "삼성에 대한 고율관세 부과는 지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이라고 우려한 바 있다.
[뉴스핌 Newspim] 최유리 기자 (yrcho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