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주석·리커창 총리 방일 희망"
"2019년 소비세 인상 계획 변화 없어"
[뉴스핌=김성수 기자]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북한의 비핵화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대화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아베 총리는 지난 12일 자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북한 문제는 외교적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면서 "다만 북한에 강한 압력을 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
<사진=블룸버그> |
아베 총리는 전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가결한 새 대북제재가 "북한의 정책을 바꾸도록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은 최대한의 대북 압력을 가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할 것"이라며 "북한이 정확하고 증명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에 나서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일본이 북한 정권과 교류하려면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약속해야 한다"며 "현재 상황에서 북한을 방문하는 것은 의미없으며, 이제는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압력을 가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아베는 중국과의 관계를 회복하기를 바란다면서 한중일 3국 정상회의가 관계 진전을 위한 핵심 단계라고 말했다. "올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3국 정상회의가 개최되도록 조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이어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리커창 중국 총리를 일본에 초청하고, 내가 중국에 방문한 다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다시 일본에 방문했으면 한다"며 "일본과 중국의 정상이 서로 나라를 방문함으로써 양국 관계를 더 돈독히 만들고 싶다"고 강조했다.
아베 총리는 일본은행(BOJ)이 명시적인 2% 물가 안정 목표를 폐기해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을 의식한 듯,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락 말했다. 그는 "물가상승률이 2%를 웃도는 단계에 이르는 것이 중요하다"며 "BOJ는 물가가 꾸준히 오를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나는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를 전적으로 신뢰한다"며 "정부와 BOJ가 손잡고 아베노믹스를 더 강력하게 추진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구로다 총재의 임기는 내년 4월에 끝난다. 아베 총리는 구로다 총재의 후임이 누가 될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그는 누가 후임이 되든 BOJ가 계속 물가상승률 목표를 달성하는 데 통화정책을 집중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아울러 아베는 오는 2019년 10월 소비세를 현행 8%에서 10%로 인상하는 계획에는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소비세 인상은 다음 세대의 사회적 복지 시스템을 확충하기 위한 것"이라며 "시장과 국제사회에서 일본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성수 기자 (sungs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