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자산관리 걱정 뚝, 24시간 투자비서 로보어드바이저

기사입력 : 2017년08월28일 16:02

최종수정 : 2017년09월12일 17:05

정교한 프로그램 맞춤식 투자 포트폴리오 제공
투자 정확도 높고 인건비 절감까지 일석이조

[편집자] 이 기사는 8월 25일 오후 5시42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동현기자]# 중국의 40대 주부 린씨는 여윳돈을 모아 로보어드바이저 상품에 투자했다. 금융상품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전업 주부 입장에서는 자신의 투자성향에 적합한 맞춤형 자산관리를 해주는 로보어드바이저 상품이 안성맞춤이기 때문이다.

AI 기반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가 자산관리의 문턱을 낮추면서 중국 금융 투자 업계의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를 포함한 핀테크 자산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국인이 3억명을 넘어서면서 재테크 분야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아이미디어(ii-media)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핀테크 자산관리 고객규모가 지난해 대비 23.5%가 증가한 3억 84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시장조사기관인 이관(易观)은 오는 2020년이면 중국 인공지능(AI) 기반 자산관리 규모가 5조 2200만위안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인공지능이 자산관리분야에서 각광받는 이유는 투자의 정확도를 높이면서 인건비를 줄이는 1석2조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의 자산관리분야가 빠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스타트업 및 금융기관이 앞다퉈 로보어드바이저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로보어드바이저는 로봇(Robot)과 어드바이저(Advisor·조언자)의 합성어로 로봇이 자산 관리와 재무 설계 등을 자동으로 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물리적인 형태를 갖춘 로봇이 아닌 정교하게 짜인 컴퓨터 프로그램이 투자자 성향에 맞춰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금융 알파고’ 로보어드바이저, 자산관리 대중화 시대 열어

최근 중국의 금융기관 및 스타트 업들이 20여개가 넘는 로보어드바이저 플랫폼을 잇달아 출시하면서 AI를 통한 자산관리의 대중화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그동안 전통 금융기관에서 자산관리서비스는 비싼 수수료를 부담할 수 있는 고액 자산가들의 전유물이었다. 이제 로보어드바이저가 보편화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일반인들도 자산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다.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2억 2500만명에 달하는 중국 중산층들이 1인당 50만 위안을 재태크에 투자하게 되면 100조위안 규모의 천문학적인 자산관리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 같은 막대한 재테크 시장을 겨냥해 로보어드바이저 플랫폼들은  ‘고효율 저비용’을 내세운 로보어드바이저를 활용해 금융 사각지대에 놓여있던 소액투자자들을 공략하며 자산관리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포석이다. 이들 업체들의 투자 방식은 다소 상이하지만 맞춤형 자산관리 및 분산투자를 통해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점에서 유사한 모델을 가지고 있다.

중국 시중은행 중에서는 초상은행(招商银行)이 최초로 로보어드바이저를 도입하며 AI 기반 자산관리의 선봉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초상 은행은 핀테크 선도업체를 표방하며 세전 영업이익의 1%를 핀테크 사업에 투입해 전사적으로 금융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7년간의 개발기간 끝에 2016년 12월 로보어드바이저 플랫폼인 모제즈터우(摩羯智投)를 선보였다.   

업계 관계자들은 모제즈터우에 대해 인공지능과 투자인력의 강점이 융합된 자산관리 상품이라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줬다. 초상은행은 인공지능의 데이터처리 및 모델링의 우수성과 전문인력의 노하우를 접목시켜 차별화된 로보어드바이저리 상품을 설계해 냈다. 올해 7월말 기준 모제즈터우(摩羯智投)의 운용자금규모는 50억 위안을 넘어섰다.

이 플랫폼은 3400여 펀드를 대상으로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매일 자산 가격변동을 분석해 투자 비중을 조정하고 매월 6차례에 걸쳐 자산운용결과를 고객들에게 보고한다. 특히 매일 107만건의 반복 연산과정을 통해 고객의 투자성향에 최적화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인터넷 공룡 알리바바의 경우 탁월한 기술력과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금융기관과 협력하며 AI 기반 자산관리분야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알리바바 산하 AI 금융 플랫폼 마이차이푸(蚂蚁财富)는 그동안 축적한 소액결제 데이터, 리스크 관리,클라우드,인공지능 기술을 자사의 신용시스템에 접목시킨 개방형 금융서비스인 차이푸하오(财富号)를 7개 펀드사와 3개 시중은행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런 협력을 통해 금융기관은 막대한 고객 데이터를 확보하고, 알리바바는 자사의 AI 재테크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유통채널을 확보하게 돼 ‘윈윈효과’를 거두고 있다.

스타트업 플랫폼 중에서는 리차이모팡(理財魔方)이 올해 5월 맞춤형 자산관리 상품을 출시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 플랫폼의 CEO는 “모든 고객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투자성향을 파악한 후 고객의 거래내역을 추적 분석한다”며 “매일 24시간 글로벌 금융 데이터를 수집하고 글로벌 18 종류의 금융자산에 대해 분석 및 연산작업을 통해 자산을 최적화한다”고 밝혔다.

리차이모팡(理财魔方)의 관계자는 “모든 고객에게 별도의 맞춤형 자산관리를 할 수 있어야만 로보어드바이저라고 할수 있다”며 “단지 인공지능의 알고리즘을 활용한 투자는 ‘스마트 투자’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로보어드바이저 플랫폼들이 다음의 3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첫째 미국의 대표적 로보어드바이저 플랫폼 웰스프런트(Wealthfront), 베터먼트(Betterment)가 운용하는 ETF(상장지수펀드) 투자방식을 똑같이 벤치마킹하는 방식이다. 중국의 미차이(彌財),차이징(財鯨)과 같은 로보어드바이저리 플랫폼도 이같은 방식으로 목표 수익률을 실현하기 위해 중국의 ETF상품 뿐만 아니라 해외 ETF에도 자산 배분을 하고 있다.

둘째 고객의 투자성향에 따라 다양한 펀드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투자방식이다. 이런 모델로는 리차이모팡(理財魔方) 및 첸징스런리차이(錢景私人理財)가 대표적인 플랫폼으로 꼽힌다.

셋째 유명 투자대가들의 주식포트폴리오를 추종하면서 온라인 플랫폼에서 투자정보를 교류하는 방식이다. 로버어드바이저 플랫폼 중 쉐추(雪球) 및 진베이다(金貝塔)가 이런 방식으로 운영된다.

[뉴스핌 Newspim] 이동현 기자(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