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범준 기자] 서울대학교는 시흥캠퍼스 조성 등으로 갈등을 빚은 학생 측과 문제해결 및 신뢰회복을 위한 '시흥캠퍼스 협의회'를 구성했다고 11일 밝혔다.
총학생회 등 일부 학생들이 '대학의 기업화'라고 반발하면서 지난해 10월10일 대학본부 행정관을 점거한지 275일만, 153일 간의 점거 농성을 이어오다가 올해 3월11일 강제해제된지 123일 만, 지난 5월1일 일부 층에 한해 재점거를 한지 72일 만이다.
![]() |
서울대학교 |
서울대는 협의회를 통해 사업 추진 경과와 주요 내용을 검토 및 논의하고 학생들의 학교 행정 참여방안 등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협의회는 대학본부 보직자(학생처장·기획처장)와 학생대표(학부생 3명·대학원생 1명), 교수 단체 대표(3~4명)으로 구성된다.
1개월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상세계획 및 수요조사, 설계 등의 업무를 추진하게 된다. 다만 건물공사 부문은 제외된다.
학교 측은 앞서 학생들과 약속한 기숙형대학 및 기존 교육단위의 이전 추진은 없다는 점을 재확인하기도 했다.
성낙인 총장은 "앞으로 상호 대화를 통해 화합하고 대학의 발전을 위해 노력할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대화가 잘 지속되면 형사고발도 철회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3월11일 학교 측의 행정관 점거 해제 과정에서 학생들은 분말 소화기를 발사했고, 학교 측은 소화전의 물을 분사하며 맞대응했다.
내홍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자, 3월31일 성 총장은 "이번 사태로 마음의 상처를 입은 교직원과 학생들께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구성원들에게 공식 사과했다.
이후 5월1일 학생들의 본부 재점거가 있자 서울대는 관악경찰서에 점거 주도 학생 6명에 대한 형사 고발장을 제출했다.
![]() |
지난 3월11일 오후 서울대 본부점거본부 학생들이 행정관 재진입을 시도하던 상황의 폐쇄회로(cctv) 영상 캡처본. 직원들을 향해 학생들이 분말 소화기를 발사하는 장면 [영상=서울대학교 제공] |
![]() |
지난 3월11일 서울대학교 행정관 점거 해제 과정에서 직원들이 점거 농성 중이던 학생들에게 소화전 물을 발사하며 맞대응하고 있다. [사진=서울대학교 총학생회 제공] |
[뉴스핌 Newspim] 김범준 기자 (nun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