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꽃샘추위가 아직 가시지 않은 어느 봄날...학생들은 이불을 몸에 덮은 채 서울대 시흥캠퍼스 설립 반대를 주장하며 천막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
![]() |
▲ 서울대 학생들은 점거 농성이 해제된 다음날 본관 건물 앞에 대형 천막을 설치했다. |
[뉴스핌=김학선 기자] 시흥캠퍼스 건립에 반대하는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본관 점거 농성이 무려 153일만인 지난 토요일 학교 측의 강제해산 조치로 끝이 났다.
하지만 점거 농성을 진행해 온 서울대 학생들은 "학교의 주인은 학생"이라고 반발하며 본관 앞에 천막을 치고 시흥캠퍼스 조성 반대 운동을 이어가고 있다.
![]() |
국내 최고 '지성의 전당'이라고 불리는 서울대의 갈등해결 방식은 지성과는 거리가 멀었다. 점거 농성이 해제되던 날 학생들은 분말 소화기를 발사했고, 학교 측은 소화전의 물을 분사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직원과 학생 수명은 부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 |
▲ '대학신문' 창간 65년만에 1면 백지로 항의 표시 |
![]() |
교내를 돌아보며 어렵지 않게 시흥캠퍼스 건립에 반대하는 대자보를 찾아볼 수 있다. 학생들은 서울대가 시흥시와 맺은 '시흥캠퍼스 실시협약'은 소통없이 진행된 절차이며 '대학의 기업화'라고 반발하고 있다.
반면, 학교 측은 "세계화에 대비하려면 관악캠퍼스 부지 부족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 |
![]() |
본관 건물 앞에는 사무용 집기와 쓰레기 등이 어지럽게 널부러져 있다. 긴박했던 그날의 상황이 어땠을 지 가늠케 한다.
![]() |
'숨은 주권 찾기'란 글귀가 눈에 띈다. 서울대생들은 학생의 권리를 찾기 위해 153일 동안... 아니 지금도 투쟁을 이어가는 중이다.
![]() |
학생들은 서울대의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을까?
![]() |
학교의 주인이 학생임은 명백하다. 힘으로 학생을 억압하는 학교... 그 누구도 다니고 싶은 마음은 없다. 학교가 이제는 마음을 열고 대화에 나설 때이다.
![]() |
서울대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더 늦기전에 우리나라의 대표 국립대학으로서 역할과 책무를 기대해본다.
![]() |
![]() |
오늘도 공부를 포기한 학생들은 할말이 많다.
[뉴스핌 Newspim] 김학선 기자 (yooks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