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News

속보

더보기

치매 책임지는 문재인 정부..SK·동아, 치료제 개발 탄력?

기사입력 : 2017년05월29일 11:35

최종수정 : 2017년05월29일 11:35

세계 치매환자 2015년 4678만→2050년 1억3145만명 급증
글로벌 제약사 치료제 개발 난항..온전한 치료제 아직 없어
국내 제약사도 도전..정부 지원 확대로 R&D 활성화 기대

[뉴스핌=박미리 기자] 문재인 정부가 치매를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치매 국가책임제'를 중점 추진하기로 하면서, 국내 제약사들의 '치매 치료제' 개발에도 탄력이 붙을지 관심이다.

29일 중앙치매센터 및 국제알츠하이머협회에 따르면 세계 치매환자 수는 2015년 4678만명에서 2030년 7469만명, 2050년에는 1억3145만명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치매는 후천적으로 기억력을 비롯한 여러 인지기능 장애가 나타나 일상생활을 혼자하기 어려워지는 상태를 가리킨다. 알츠하이머성, 혈관성 등 종류가 다양하다. 주로 고령의 환자에서 발병하지만 최근에는 운동부족, 높은 스마트기기 의존도 등으로 젊은 환자도 급증하는 추세다.

하지만 아직 전세계적으로 치매를 완전히 치료하는 약은 없다. 현재 에자이의 '아리셉트', 노바티스의 '엑셀론', 머츠의 '나멘다', 존슨앤존슨의 '라자딘' 등 4개 의약품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치매 치료제'로 판매되고 있으나, 증세를 완화하거나 진행속도를 늦추는 효과만 있다.  

이는 다수 글로벌 제약사들이 일찌감치 자금력을 앞세워 치매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었음에도, 모두 실패했기 때문이다. 올해 MSD가 '베루베세스타트', 지난해 일라이 릴리가 '솔라네주맙'의 임상을 각각 중단했고 GSK, 암젠과 노바티스, 화이자 등 다국적 제약사들도 이렇다할 성과를 아직 못냈다.

FDA에 따르면 지난 20여년 동안 100개가 넘는 치매 치료제가 개발에 실패했을 정도다. 치매환자 수가 지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온전한 치료제 개발이 절실해졌다. 

국내 제약사들도 최근 치매 치료제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기 시작했다.

메디포스트는 현재 제대혈(탯줄 혈액)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원료로 한 '뉴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이는 뇌에 삽입된 특수관을 통해 뇌척수액에 3회 반복 투여하는 방식으로, 약품 유효성과 투여 편의성을 높였다. 특히 뇌 내 신경전구세포를 일반 신경세포로 분화할 수 있도록 도와 근본적인 치료와 예방을 가능하게 한 점이 특징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 1/2a상을 진행하고 있다.

일동제약은 천연물에 기반한 치매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멀구슬나무 열매인 천련자부터 추출한 후보물질 'ID1201'을 통해 치매의 원인 물질 중 하나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을 억제하고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보건복지부 임상과제로 선정돼 현재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다. 결과에 따라 일동제약은 유럽을 비롯해 해외 임상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메디포스트 '뉴로스템' <사진=메디포스트 홈페이지>

SK케미칼은 할미꽃 뿌리인 백두홍을 이용한 천연물 치매 치료제 'SK-PC-B70M'을 개발 중이다. 2013년 임상 3상을 완료했다. 차바이오텍은 'CB-AC-02'의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이는 태반 조직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이용해 정맥주사 방식으로 만든 치매 치료제다.

이외 2007년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알츠하이머와 관련 임상시험 승인을 받은 제약사는 환인제약(제품명 INM-176·단계 3상), 퓨리메드(PM012·2상), 바이오랜드(BL153·2a상), 대화제약(DHP-1401·2b상) 등이다.

2013년 '동아치매센터'를 설립했던 동아에스티는 'DA-9803'이라는 이름의 천연물 소재를 기반으로 한 치매 치료제를 개발 중으로 알려졌다. 현재 전임상 단계로 식약처 임상승인 명단에는 없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치매 치료시장은 세계 제약사들이 이전부터 도전했지만, 난공불락이었다"며 "개발하면 단숨에 글로벌 제약사로 오를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에서 '치매 국가책임제'를 도입하면서 '제약사들의 치료제 개발에 지원이 있지 않겠느냐' 하는 시각도 있다"며 "금전적인 지원보다 연구가 원활히 될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에 도움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박미리 기자 (milpar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내일부터 전공의 추가 모집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보건복지부가 오는 20일부터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한다. 복지부는 19일 '전공의 추가 모집 안내 공지'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복지부는 "대한의학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등 수련 현장 건의에 따라 5월 중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할 계획"이라며 "이번 모집은 오는 20일부터 5월 말까지 모집병원별 자율적으로 진행한다"고 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3.18 mironj19@newspim.com 사직전공의의 지원 자격은 지난 1월 10일 '사직 전공의 복귀 지원 대책'에서 발표한 수련 특례를 동일하게 적용한다. 이번 모집 합격자는 오는 6월 1일부터 수련이 개시된다. 수련 연도는 다음 해 5월 31일까지 적용된다. 한편 사직전공의들은 복귀를 전제로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입대한 사직자의 제대 후 TO(정원) 보장을 요구했다. 복지부는 언급된 조건을 대부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에 대해서는 기존 발표한 의료개혁 과제 중 구체화가 필요한 과제에 대해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예산에 반영된 과제,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확정된 과제는 차질없이 이행하겠다는 입장이다.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의 경우는 오는 6월 1일부터 수련이 개시되면 인정된다. 사직전공의가 이번 모집에 합격해 수련을 개시할 경우 내년 2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3월 복귀자와 마찬가지로 수련 기간 단축은 없다. 군입대 전공의를 포함한 복귀 전공의 TO 보장도 수용됐다. 복지부는 이번 모집에 합격하는 사직전공의 TO를 보장한다고 밝혔다. 원 소속 병원·과목·연차의 TO가 기존 승급자 등으로 이미 채워진 경우도 사직자가 복귀하면 정원을 추가 인정한다. 다만, 이미 군입대한 전공의가 제대한 후 수련병원으로 복귀하는 문제는 향후 의료 인력, 병력 자원 수급 상황, 기존 복귀자와 형평성 등을 고려해 검토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정부가 복귀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모집을 실시할 예정이다. 사진은 6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의 의료진 모습. 2025.02.06 yooksa@newspim.com 추가 모집에 대한 정부 입장이 변경된 이유에 대해 복지부는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등 6개 단체가 전문의 수급 차질을 막고 의료공백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직전공의의 수련 복귀를 위한 추가 모집을 열어줄 것을 건의했다"며 "전공의 복귀 의사를 확인하기 위해 의료계가 자체적으로 실시한 여러 조사에서도 상당수 복귀 의사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복지부는 "고심 끝에 수련 현장 건의를 받아들여 5월 중 수련 재개를 원하는 전공의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수련에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밖에 구체적 모집 절차, 지원 자격 등은 병원협회 홈페이지에 공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5-19 16:03
사진
시흥 연쇄 흉기 피습 4명 사상 [시흥=뉴스핌] 노호근 기자 = 경기 시흥시 정왕동 일대에서 하루 사이 4건의 흉기 피습 사건이 연이어 발생해 2명이 숨지고 2명이 중상을 입었다. 경찰은 동일 인물에 의한 연쇄 범행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용의자를 추적 중이다. 경찰로고. [사진=뉴스핌DB] 경찰 등에 따르면 19일 오전 9시 30분께 정왕동 한 편의점에서 60대 여성 점주 A씨가 50대 중국 국적의 남성 B씨가 휘두른 흉기에 찔려 병원으로 이송됐다. A씨는 목과 복부에 중상을 입었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같은 날 오후 1시 30분쯤 편의점 인근 체육공원 주차장에서 70대 남성 C씨가 흉기에 복부를 찔리는 또 다른 사건이 발생했다. C씨 역시 병원으로 옮겨졌으며, 현재 치료 중이다. 또 편의점 근처의 한 원룸 건물 내에서는 남성 2명이 각각 다른 층에서 흉기에 찔린 채 발견됐다. 이들은 모두 현장에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4건의 사건 발생 장소가 지리적으로 가깝고, 짧은 시간 내 발생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범행 수법에도 유사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일단 1인의 연쇄 범행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 경찰은 사건 현장 인근 폐쇄회로(CC)TV 영상을 확보하고 분석에 착수했으며, 목격자 진술 등을 토대로 용의자의 신원 및 동선을 파악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범행 간 시간 간격과 위치 등을 감안할 때 동일범 소행일 가능성이 있다"며 "신속한 검거를 위해 모든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 사건에 대해 살인 및 살인미수 혐의를 적용해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seraro@newspim.com 2025-05-19 16:1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