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이행 불발 리스크 VS 인플레 상승 제동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탄핵 위기가 불거지면서 금값의 향방을 둘러싼 공방이 후끈 달아올랐다.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를 부추기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떨어뜨린 트럼프 대통령의 입지가 약화될 경우 금은 통상적인 정치권 리스크로 인해 발생하는 것보다 강한 투자 매력을 얻을 것이라는 기대가 한 축을 이룬다.
<사진=한국거래소> |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탄핵설이 고조될 경우 인플레이션 상승 리스크가 가라앉으면서 금값 상승의 발목을 오히려 붙잡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금값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제임스 코미 전 연방수사국(FBI) 국장에게 마이클 플린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대한 수사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상승 탄력을 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코미 국장을 해임하고, 의혹을 부인했지만 경제 공약 이행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에 무게가 실린 상황이다.
뉴욕증시의 상승 랠리가 꺾인 것이나 달러화가 지난해 11월 이후 최저치로 밀린 것도 같은 맥락이다.
투자자들의 시선이 이번 스캔들이 크게 확산될 것인지 여부와 집중된 가운데 금값의 향방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고 있다.
지난 18일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1265.08달러까지 오르며 2주간 최고치를 기록했고, 주간 기준으로 4주간 최대 상승률을 나타냈다. 하지만 이후 금값은 온스당 1250달러 선으로 떨어졌다.
퍼머넌트 포트포리오의 마이클 쿠기노 대표는 22일(현지시각)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부적절한 행위가 명백하게 드러날 경우 경제 정책 이행에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상원을 중심으로 공화당의 입지가 탄탄하지 않은 상황에 중간선거가 18개월도 남지 않은 점 역시 가볍게 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장기적으로 금값이 완만한 상승 추이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뱅킹그룹 역시 미국 정치적 리스크가 고조될 경우 금값이 온스당 1300달러 선을 뚫고 오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반면 골드만 삭스는 미국 경제의 지속적인 회복을 점치며 금에 대한 약세 의견을 유지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