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관위, 유권자 인식 설문 조사 결과
유권자83% “반드시 투표” 18대보다 상승
박근혜 파면계기…시민 참여의식 높아져
“선거통해 국가 미래 달라질 수 있다” 65%
[뉴스핌=김범준 기자] 5월9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후보자들의 선거운동이 무르익는 만큼 유권자들의 의식도 고조되고 있다.
유권자 10명 중 8명은 적극적인 투표의사를 보이는 동시에 후보를 선택할 때 정당보다 능력과 정책을 우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의 주요 관심사는 적폐청산, 차별금지 등이었다.
① 유권자 83% "반드시 투표할 것" 선거관심 고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우리리서치가 지난 10~11일 전국 만19세 이상 유권자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9대 대통령선거 유권자 의식 조사' 결과 따르면, 유권자 10명 중 8명이 이번 대선에 '반드시 투표할 것'(82.8%)이라며 적극적인 의지를 보였다.
이는 지난 2016년 20대 총선(63.9%)과 18대 대선(78.2%) 때보다 높다.
전문가들은 관심도 증가의 이유를 대체로 '촛불'을 꼽는다. '국정농단' 사태에 분노한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광장으로 나왔고, 결국 대통령의 파면과 구속까지 이르게 됨으로써 '참여의식'이 한층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 |
제19대 대통령선거 유권자 의식 조사 결과보고서. <자료=중앙선거관리위원회> |
반면 '투표할 생각이 없다'는 유권자는 그 이유로 '투표를 해도 바뀌는 것이 없어서'(40.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마음에 드는 후보가 없어서'(28.4%), '정치에 관심이 없어서'(15.5%) 순이었다.
5월 9일 투표일에 앞서 다음달 4~5일 실시되는 사전투표에 대한 인식은 44.5%가 '잘 알고 있었다'고 응답해 지난 20대 총선(33.9%) 대비 약 10%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② 후보 선택 기준 "정당보다 능력·정책"
지지후보 선택 시 중요하게 보는 것은 '인물·능력(도덕성)' 47.1%, '정책·공약' 35.0%로 압도적이다. 반면 '정치경력'(5.4%), '소속정당'(4.0%) 등은 낮게 나타났다.
![]() |
제19대 대통령선거 유권자 의식 조사 결과보고서 <자료=중앙선거관리위원회> |
③ "내 한표는 소중"
유권자 10명 중 약 8명이 '내 한 표가 선거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75.8%)고 응답했다. 한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선거를 통해 국가 전체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 질문에 응답자의 64.9%가, '선거를 통해 나의 일상생활과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는 44.6%가 동의했다.
④ 깨끗하다 54% vs 깨끗하지 못하다 35%
이번에 치러지는 19대 대선 분위기에 대해 '깨끗하다'(54.2%) 평가가 '깨끗하지 못하다'(34.9%) 의견보다 20%포인트 가까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공명하지 않은 이유로 '상호비방·흑색선전'(부정 응답자 528명 중 39.3%)과 '언론의 불공정한 보도'(31.5%)를 꼽는 의견이 많았다.
⑤ 적폐청산·차별금지·평화 '선거 키워드'
전국 384개 시민사회노동단체가 연대 결성한 2017대선주권자행동은 '#Votefor(보트포) 인증샷 캠페인'을 통해 유권자들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 지난 11일부터 시작한 이 캠페인은 20일까지 열흘 간 1500여명의 시민이 참가했다.
워드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주요 키워드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결과 시민들은 ▲적폐청산 ▲차별금지 ▲평화에 가장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에 이은 구소기소와 금수저·흙수저 논란, 남북 간 긴강 고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아이 ▲안전 ▲노동 ▲정의 ▲교육 ▲검찰개혁 ▲세월호 ▲임금 ▲평등 ▲미세먼지 등에 대한 기대도 높았다. 생활 밀착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
'#Votefor(보트포) 인증샷 캠페인' 참여 시민들의 열쇳말 워드클라우드 이미지(4월20일 오후 1시30분 기준). <2017대선주권자행동 제공> |
박근용 대선주권자행동 공동기획단장(참여연대 공동사무처장)은 "본 캠페인을 통해 시민들이 정부에 무엇을 바라는지 잘 알 수 있는 기회가 됐다"면서 "시민들의 요구를 선거 후 새로운 대통령 당선인에게 전달해 향후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범준 기자 (nun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