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규제 강화...가맹점 수수료 인하까지 설상가상
[뉴스핌=이지현 기자] 금융당국이 카드론 집중관리에 나섰다. 카드론을 크게 늘린 일부 카드사를 검사한 데 이어, '경영유의' 조치까지 내렸기 때문이다. 당국의 이같은 직접적인 대출 규제에 카드사들은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31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24일 롯데카드에 '경영유의' 조치를 내렸다. 롯데카드가 지난 2014년 6월부터 카드론 이용 한도를 확대하고, 카드론 금리를 정상보다 40~50% 저렴하게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통해 대출 잔액을 계속 늘려왔다는 이유다.
또 롯데카드가 지난해 6월말 기준으로 카드론 잔액 2조4744억원 중 7등급 이하의 저신용자 잔액 비중이 30.1%에 달한 것도 이유가 됐다. 잠재부실 위험이 높은 만큼 앞으로 카드론 취급 대상 및 한도 산출 기준을 적정하게 설정하고, 저신용자나 다중채무자에 대한 카드론 취급 비중을 조절하라는 것.
이에 롯데카드는 앞으로 카드론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강화한 뒤 금감원에 개선 사항을 보고해야 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9월 취약차주가 많은 롯데카드와 우리카드를 대상으로 건전성 검사를 한 결과가 지금 나온 것"이라며 "특히 최근 2금융권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리스크가 높아짐에 따라 경영유의 조치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당국이 카드론 리스크 관리와 관련해 서면 경고 조치를 내린 것이 이례적이라고 평가한다. 통상 금융사 CEO들을 불러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것을 구두로 주문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은행권의 가계대출을 조이자 풍선효과로 2금융권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제2금융권을 이용자는 취약계층이어서 부실 위험이 높다고 판단한 당국이 규제 강도를 높이고 있는 셈이다.
![]() |
카드론을 취급하지 않는 BC카드를 제외하고 7개 전업계 카드사의 카드론 규모는 지난해말 23조6800억원이었다. 이는 지난 2015년말 21조4000억원 보다 2조원 가량 늘었다.
회사별로도 KB국민카드가 지난해 카드론을 전년대비 21.5% 늘려, 총액이 4조2860억원에 이르렀다. 업계 1위인 신한카드의 카드론 규모는 5조6180억원으로 11.1% 늘었으며, 삼성카드 역시 8.5% 늘려 4조원대에 이르렀다. 하나카드, 우리카드 등도 카드론 증가율이 두자릿수다.
카드론 '집중관리'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상시 검사는 물론 카드론 할인 프로모션 등의 마케팅에 대한 검사도 강화될 수 있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카드사들이 프로모션을 통해 금리를 할인해주거나 이용 한도를 늘려주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이 경우 취약차주들의 유입도 많아질 수 있고 카드론 대출 양 자체가 늘어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카드사들은 진퇴양난에 빠졌다. 지난해 카드 가맹점 수수료율을 인하한데다 중요한 수익원 중 하나인 카드론에 직접적으로 규제를 강화하기 때문.
한 카드사 관계자는 "카드사 대출이 전체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다"면서 "신용카드는 발급 때부터 신용등급 7등급 이하는 잘 받지 않고, 한도 관리를 철저히 하기 때문에 카드론 이용자의 부실 위험도 상대적으로 낮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율은 계속 내려가는데 수익을 낼 수 있는 카드론마저 규제가 들어오다 보니 난감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이지현 기자 (jh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