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 200대기업 CEO 보수, 직원 평균의 129배와 231배
[뉴스핌=이영기 기자] 글로벌 기업 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다시 한 번 최고경영자(CEO)의 보수에 상한을 명확하게 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영국의 경우 메이 총리 등 영국 정치권도 과도한 CEO 보수 수준을 문제삼고 있는 가운데 연기금 단체에서 이 문제를 의회 정책 제안서로 제출한 상태다.
27일 자 파이낸셜타임스(FT) 지는 영국의 연기금 연합회에서 상장기업들의 임원보수에 대한 상한선을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들의 실무추진체인 지역연금펀드포럼(LAPEF)에서는 관련 정책제안서를 의회에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자산운용업계는 이 문제가 올해 영국에서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다시 쟁점으로 부상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앞서 지난 23일 자 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 지는 '더 이상 CEO 보수를 문제삼지 말아야 할 이유'라는 런던비즈니스스쿨(LBS) 금융학과 교수 알렉스 에드만스(Alex Edmans)의 기고글을 실었다. 요지는 꼭 기업의 재무 성과만이 아니라 일자리 창출 등 CEO들이 사회에 기여하는 포괄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에드만스 교수는 파이낸셜타임스(FT)에도 같은 취지의 기고를 했다. 독자들의 반대 의견이 거세가 신문은 대표 독자의 기고글을 다시 게재했다.
이 독자의 반박은 창업자 등 기업가와 지금 문제로 삼는 전문경영인(CEO)을 구분해 달라는 것이었다. 과연 전문경영인들이 창업자처럼 기업가정신이 투철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 그만큼 큰가에 대한 의문 제시였다.
맨해튼 금융권 <출처=블룸버그> |
연구기관 하이페이센터(High Pay Centre)에 따르면, 지난해 영국의 FTSE200지수에 포함된 기업CEO보수는 직원평균의 129배에 달했다. 동일한 기준으로 볼 때 미국 CEO 보수는 직원 평균의 231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연기금포럼(LAPEF) 대변인은 "뭔가 획기적인 제안을 해야 이 문제가 본격 논의될 것이라고 보았다"고 말했다.
이미 지난해 7월 메이 총리도 이 문제에 대해 "비합리적이고 불건전할 뿐 아니라 직원과 CEO간 임금 격차를 확대시키고 있다"고 맹비난을 퍼부은바 있다. 올들어 지난 21일 전 상무부장관 빈스 케이블(Vince Cable)도 CEO 보수를 '나르시즘에 빠진 집착'이라고 평가했다.
현 제도는 향후 3년간 임원보수 사항에 대해 주총에서 한번 승인하면 된다. 하지만 상한선이나 구체적인 지급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하지가 않다는 것이 LAPEF와 투자자들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LAPEF 대변인은 "주가가 오르기만 하면 엄청난 규모의 CEO 보수를 지급하고, 회사 사정에 잘 아는 투자자들조차 그것이 과도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금 정책제안서는 논의를 시작하기 위한 것이라 구체적인 대안을 내놓지는 않았지만 CEO보수 총액의 상한선을 도입하는 것이 골자라는 것이 이 대변인의 설명이다.
메이 총리의 입장이 이미 밝혀졌기 때문에 이번 정책제안서는 매우 적극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대변인은 "메이 총리도 이런 맥락에서 일을 추진 해 다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더구나 2017년은 CEO보수 문제가 영국 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이슈로 등장할 것이 확실하다는 것이 세계 굴지의 자산운용사들의 입장으로 알려졌다.
이같이 CEO보수를 두고 옥신각신하는 것은 영국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어서 향후 그 논란의 추이가 주목되는 대목이다.
런던비즈니스스쿨(LBS)의 금융학장인 데이비드 피트왓슨(David Pitt-Watson)교수는 "CEO보수 문제는 기업 경영의 '인센티브'이기도 하고 사회적인 물의를 빚기도 해 논의를 하더라도 사회적인 컨센서스를 이끌어내는 데는 어려움이 많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기 기자 (0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