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활성화 위한 조치들...일상생활 풍경 달라질 수도
정부 추진방향대로 진행될지 미지수
[세종=뉴스핌 정경환 기자] # 금요일 오후 4시, 서울에 사는 48세 직장인 A씨는 퇴근을 서두른다. 토요일까지 1박 2일간 가족들과 캠핑을 가기로 해서다. 퇴근하면서 렌터카업체에 들러 낮에 미리 주문해둔 캠핑카를 찾은 그는 마트에 도착, 만원인 주차장을 피해 길 건너 상가 주차장에 차를 세웠다. 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를 캠핑카에 꽂아 놓는 것도 잊지 않았다.
그는 먹을거리와 함께 하우스맥주도 몇 병 산 뒤, 다시 길 건너 주차장으로 와서 캠핑카를 끌고 나왔다. 마트 이용객의 주차 비용은 마트에서 대납한다. 집으로 가서 가족들을 태우고 근처 국립공원 야영장으로 출발할 생각에 A씨는 벌써부터 마음이 들뜬다.
정부가 내수 및 투자 활성화를 위해 생활밀착형 산업 투자여건을 개선키로 하면서 예상되는 우리 일상의 변화된 모습이다.
◆ 한 달에 한 번 '가족이 있는 삶'
한 달에 한 번이나마 A씨의 이 같은 삶이 가능해진 것은 조기퇴근제에서 비롯된다.
정부가 내수활성화 차원에서 매월 1회 금요일 오후 4시에 퇴근하는 '조기퇴근제'를 추진한 것. 2시간 일찍 퇴근하기 위해 A씨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30분씩 초과근무를 했다.
여유 시간이 생기고 나니, 아내와 아이들의 희망사항이 빗발친다. 마침 집 근처 북한산 국립공원에 사기막야영장이 만들어졌다 하니 오랜만에 캠핑을 떠나볼까 마음먹은 그다.
과거 몇 차례 큰 맘 먹고 캠핑을 가 본 적은 있지만, 말 그대로 단단히 벼르고 별러야 가능했다. 게다가 딱히 캠핑카라고 할 것도 없이 타고 다니던 승용차에 간단히 캠핑 물품들을 싣고 다닌 정도였다.
캠핑카. <자료=기획재정부> |
하지만, 이젠 캠핑 갈 시간을 만들고, 캠핑 장소를 차기가 예전보단 훨씬 수월해졌다. 캠핑카도 구하기 쉽다.
1남 2녀를 둔 A씨는 다자녀 가구의 자동차 취득세 면제 대상에 일정규모의 캠핑카·야영용 트레일러도 포함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굳이 캠핑카를 구입하진 않았다.
규모가 길이 4.7m, 너비 1.7m, 높이 2.0m 이하인 승차정원 15인 이하 소형승합자동차라는데, 비용 부담과 사용 빈도를 고려했을 때 렌트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낫겠다고 판단했다.
렌터카 업체 등이 캠핑카를 구입·대여할 수 있도록 관광진흥개발기금 융자 대상에 포함시킨 덕이다.
차를 갖고 움직이는 데 있어서도 과거보다는 많이 편해졌다. 캠핑카가 전기차라 연료비가 적게 들고, 주차나 충전 인프라도 잘 구축돼 있다.
A씨의 경우처럼, 마트 주차장이 복잡할 때에는 마트와 사용계약을 맺은 이웃 아파트나 상가 또는 학교 주차장으로 가면 된다. 그리고 그 정도 대형 주차장에는 어김없이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돼 있음은 물론이다.
지역별 주차장 정보를 결합한 전국 주차장 정보 데이터베이스(DB)는 민간이 전국 어디서나 주차공유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공영·공공 부설주차장의 실시간 주차정보도 제공된다.
이렇게 주변 여건이 도와주니 1박 2일 짧은 캠핑이지만, 가족 모두가 즐겁다.
캠핑을 마치고 집으로 와서는 남은 맥주로 아내와 한 잔 기울이며 오붓한 저녁을 보낼 수도 있다. 예전에는 특정 매장에 가야만 볼 수 있던 이른바 '하우스맥주'다.
◆ '가족이 있는 미래' 오긴 올까
우리 생활이 얼마나 달라질 수 있을지 기대되는 한편으로, A씨의 '가족이 있는 삶'이 과연 가능할지, 가능하다면 그 시기는 언제가 될지 알 수 없는 게 또 현실이다.
금요일 조기퇴근이 공무원은 물론 대기업에 이어 중소기업에까지 확산되기가 쉽지 않아 보이고, 국립공원 내 야영장 설치는 환경보호 문제로 이어질지도 모른다.
결국 이상에서 언급한 정부 정책들이 언제쯤 실현될지 지금으로선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무엇보다 '돈 쓸 시간이 없는 게 아니라 쓸 돈이 없다'는 지적처럼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것도 큰 부담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돈 쓸 시간이 없는 게 아니라 쓸 돈이 없어 (정책이)소용 없을 것'이란 말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정부로선 흔들림 없이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가족이 있는 미래', 과연 볼 수 있을까.
[뉴스핌 Newspim] 정경환 기자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