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따라 채권안정펀드 즉시 재가동
[뉴스핌=송주오 기자] 금융당국이 금리상승에 따른 기업의 자금조달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회사채 인수프로그램을 내년 초 본격가동한다. 서민 계층 지원을 위한 정책금융도 강화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연체이자 부담 완화 방안도 검토한다.
7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정은보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이날 오전 성루 정부청사에서 금리상승 대응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 참가자들은 금리 상승세가 지속될 시 국내 기업과 가계 등에 부감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했다. 기업은 자금조달비용의 상승, 가계는 이자부담 증가, 금융회사는 보유채권의 평가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 |
<자료=금융위> |
이에 따라 선제적 대응에 나서기로 공감대를 형성했다.
우선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관계기관간 협력을 대폭 강화키로 했다. 이와 함께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도 한층 강화한다. 금융위와 금감원의 특별점검반에서 시장을 밀착 점검하고 엄격한 스트레스테스트를 통해 취약부문을 사전에 점검할 방침이다.
기업과 가계의 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자금을 확대한다. 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위해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의 보증을 확대해 일시적으로 유동성 부족을 겪는 기업 등의 회사채 발행과 중소기업 대출을 지원한다.
내년 1분기에는 산업은행 등이 증권사의 미매각 회사채를 최대 5000억원까지 인수하는 '회사채 인수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현재 컨틴젼시 플랜으로 준비중인 채권시장안정펀드는 자산운용사 변경 및 규모 확대 필요성 검토 등 준비작업에 착수한 상태로 필요시 즉각 재가동되도록 할 예정이다.
서민계층을 위해선 정책금융 공금을 늘릴 예정이다. 정책금융은 올해 5조7000억원 보다 확대해 공급할 방침이다. 또 중금리 대출도 내년 상반기 목표액인 5000억원을 조기 소진할 것으로 판단, 공급규모를 늘릴 계획이다.
실수요자의 내집마련을 위한 정책모기지 개편과 함께 연체부담 완화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은보 부위원장은 "시장 변동성 확대시 나타는 쏠림현상을 금융사 스스로 축소하고 중소기업과 서민계층의 금융접근성을 과도하게 제한하면 안 된다"며 "채권시장안정펀드 등 시장 안정을 위한 금융권 공동의 대응에 대해서는 금융회사가 금융시장의 주역이라는 책임감과 사명감을 바탕으로 주도적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뉴스핌 Newspim] 송주오 기자 (juoh8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