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 2017년 창업정책 혁신 실천 계획' 내놔
[뉴스핌=한태희 기자] 앞으로 창업보육센터 기능이 창업기업 경영 멘토링을 넘어 엔젤투자 지원까지 확대된다. 창업자를 육성하는 청년창업사관학교는 졸업한 기업도 지원한다.
중소기업청은 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7년 창업정책 혁신 실천 계획'을 발표했다.
중기청은 우선 창업보육센터 역할을 강화한다. 창업 공간을 제공하고 경영 멘토링하는 현재 수준에서 머물지 않고 투자 연계, 엔젤투자 기능을 갖추도록 만든다는것. 창업보육센터는 지난 1997년 외환위기 극복 과정에서 생겼다. 지난 10월 기준 전국에 267개 보육센터가 있다. 이 센터들은 6589개 창업기업을 육성 중이다.
중기청은 정부 의존형이 아닌 자립형 창업보육센터를 만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평가 항목에 경영 성과를 반영한다. 창업보육센터에 실력이 있는 매니저가 일할 수 있도록 보조금도 준다. 매니저 1명당 연봉 총액의 30% 안에서 최대 2000만원까지 지원한다. 성과 창출하는 창업보육센터 20개를 선별해 인센티브로 최대 1억원을 줄 예정이다. 성과가 없는 보육센터는 퇴출시킨다는 방침이다.
![]() |
<자료=중소기업청> |
중기청은 또 청년창업사관학교 제도를 손 본다. 지난 2011년 정부는 경기도 안산에서 청년창업사관학교를 설립했다. 이후 호남과 충남, 대구·경북, 부산·경남에서 지방 캠퍼스를 열었다.
지금까진 입학한 창업자 지원에 집중했다면 앞으론 졸업생도 지원한다. 창업기업이 가장 많이 사라지는 죽음의 계곡(창업 후 3~7년)을 통과하는 시기에도 지원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신속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투자 유치 등 성과 창출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겐 사관학교에서 최대 2억원을 지급한다. 정책 자금과 연구개발(R&D)도 지원한다. 또 벤처캐피탈과 엔젤투자자가 유망 졸업 기업에 지원할 수 있도록 중기청이 다리 역할을 한다.
창업사관학교 입학 기회도 늘린다. 지금까진 1년에 한번 모집했는데 앞으로 1년에 두번 모집한다. 바이오와 신기술 등 고부가가치 창출이 높은 2년과제도 신설한다. 중기청은 2년간 최대 2억원을 지원한다.
주영섭 중기청장은 "2016년도에는 창업 준비와 청업 초기 지원에 투자를 했다면 내년에는 규모를 키우고 데스벨리를 극복하는 방향"이라며 "도약 단계 예산을 대폭 확충했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한태희 기자 (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