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판도라' 스틸 <사진=NEW> |
[뉴스핌=장주연 기자] 오히려 적기일까. 지진 재난 영화 ‘판도라’가 경주 강진의 여파가 가시지 않은 대한민국 극장가를 찾는다.
9일 오전 서울 강남구 압구정CGV에서는 영화 ‘판도라’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메가폰을 잡은 박정우 감독을 비롯해 배우 김남길, 문정희, 정진영, 강신일, 김대명, 유승목, 김주현이 자리했다.
이날 ‘판도라’의 주역들은 최근 있었던 경주 강진을 의식한 듯 어두운 옷을 입고 등장,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대화를 나눴다. 실제 마이크를 잡은 정진영은 “아시다시피 영화 속 가상의 세계가 현실로 다가온 게 놀라운 상황에서 이걸 내놓을 수 있어서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고 운을 뗐다. 문정희 역시 “지진이 얼마 전에 나서 현실적 상황과 닮아 관심이 클 거라고 생각한다”고 거들었다.
물론 현실과 맞닿은 건 지진뿐만이 아니다. 김남길의 말을 빌자면 극중 대통령을 연기한 김명민의 대사 역시 요즘 뉴스에서 나오는 말과 일치한다. 박종우 감독은 “지진은 물론 지금 벌어지는 상황과 비슷해서 혼자 놀랐다. 물론 그게 반갑지는 않다. 사실 대통령을 우리나라 영화에서 표현하기가 힘들다. 웬만하면 등장을 안 시키고 싶은 게 창작인의 솔직한 심정이고 그만큼 불행한 시절에 살고 있다. 하지만 그걸 극복하는 게 창작의 의무 같아서 영화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정진영 역시 시나리오를 보고 투자가 되고 무사히 개봉할 수 있을까 걱정이 많았다. 정진영은 “이건 픽션이라는 생각으로 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공부도 많이 했다. 원전에 대한 문제, 심각성,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원전에 대한 정부와 관계자들의 안이한 태도를 떠올려 봤을 때 이런 영화를 만든다는 게 절 흥분시켰다. 배우로서만이 아니라 사회의 일원으로서 우리 사회의 많은 분과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볼 기회가 됐다”고 회상했다.
영화 '판도라' 스틸 <사진=NEW> |
정진영은 “사실 배우는 이런 걸 한다고 크게 불이익이 없다. 하지만 배급사, 투자자는 다르다. 이 영화를 NEW에서 배급했다. NEW에서는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사실 그들이 ‘변호인’을 만들고 힘들었던 걸 우리는 알고 있다. 작가나 창작자가 이야기할 때 어떤 불이익을 당할 걸 걱정하는 사회는 정말 못돼먹었다. 그런 일이 오늘날 횡횡했던 것은 경천동지할 만한 일이다. 표현의 자유는 있어야 민주주의 아니냐”고 소신을 밝혔다.
자연스레 이야기는 외압으로 이어졌다. 실제 ‘판도라’는 개봉까지 무려 4년이 걸렸다. 이와 관련, 박정우 감독은 “외압 때문에 개봉 시기를 못잡는 거 아니냐는 말도 있었는데 그런 분위기는 스스로 예상했을 뿐이지 실질적으로 그렇지는 않았다. 다만 책 초고를 쓰는 데만 1년이 걸렸고 워낙 큰 작업이고 준비할 게 많아 촬영도 1년 반이 넘게 걸렸다. 또 협조받을 수 있는 공간이 아니라서 거대한 시설을 짓거나 CG로 구현해야 했다. 그래서 후반 작업도 꽤 오래 걸렸다”고 해명했다.
박정우 감독은 계속해서 쉽지 않았던 준비 단계를 회상했다. 그는 “이야기를 전달할 때 본질이 왜곡될 수 있는, 논란의 소지가 많아서 훨씬 많은 걸 조사했다. 제일 어려운 건 내부 취재였다. 그걸 상상력으로 구현할 수도 없었다. 원자력 발전소 운영과 구조에 대한 자료, 원자력 발전소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와 우리 영화와 비슷한 상황도 많았다. 하지만 현실감이 있어야 설득력이 있기에, 필리핀에 관광용으로 개방된 발전소를 찾아갔다. 우리나라는 폐쇄적이고 방사능 위험이 커서 못들어가서 그렇게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배우들도 쉬운 길은 아니었다. 김대명은 “발전소 촬영이 쉽진 않았다. 저절로 살도 많이 빠지고 몸이 아팠다”고 했고, 김남길은 “이 이야기를 어떻게 관객에게 설득력 있게 전달할 것인가 고민이 많았다. 내가 저 상황이었으면 어떻게 했을까 모든 배우가 많이 고민했다. 개인적으로는 경상도 사투리가 너무 고민됐다. 진해 출신 사투리 선생님께 배우긴 했지만, 아무리 열심히 해도 거기 사신 분만큼은 안되니까 걱정됐다”고 털어놨다.
영화 '판도라' 스틸 <사진=NEW> |
감독과 배우, 모두가 이렇게 고된 시간을 견디면서 이 영화를 만든 이유, ‘판도라’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결국 희망이다. 박정우 감독은 “해결책이나 희망을 줄 탈출구가 없었다면 이 영화는 단순히 관객 겁주기 용이다. 근데 전 늦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사실 원전은 사고가 나면 수습이 거의 불가능하다. 사고를 막는 게 최선이다. 얼마 전 도올 김용옥 선생님이 현재 시국에 대해 말하면서 절망스럽지만, 엄밀히 따지고 보면 잘못된 걸 고치고 도려내는 시간이기 때문에 절망이 아니라 희망의 시작이라고 하셨다”고 말했다.
이어 박정우 감독은 “‘판도라’도 그렇다. 관객이 원자력 발전소에 관심을 가져주고 참여를 해주면 지금보다 조금 더 안전한 세상이 오게 되지 않을까 한다”며 “선동하기 위해 만든 영화가 아니다. 가장 큰 목표는 관심이다. 대중의 관심이 사회를 바꾼다”고 덧붙였다. 유승목 역시 “이런 영화가 만들어져 가슴이 뿌듯하다. 자긍심도 있다. 진작 이런 영화가 나왔어야 했는데 지금이라도 만들어져 감사하고 기쁘다”며 애정을 드러냈다.
제작보고회의 마지막 질문은 강신일에게 돌아갔다. 노란 리본을 달고나온 이유를 묻는 말이었다. 강신일은 이날 문정희, 김대명과 함께 가슴에 노란 리본을 달고 나와 눈길을 끌었다. 그는 “개인적으로 굉장히 아픈 사건이었다. ‘판도라’를 하면서 세월호 생각도 많이 했다. 다만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진 말아라. 별 의미는 없다. 나이든 사람으로서 좀 더 건전하고 온전한 사회를 형성하고 구축하는 데 있어서 게을렀고 조금은 무책임한 것에 대한 반성의 의미로 봐달라”고 답했다.
‘판도라’는 역대 최대 규모의 강진에 이어 한반도를 위협하는 원전사고까지, 예고 없이 찾아온 초유의 재난 속에서 피해를 막기 위해 나선 평범한 사람들의 사투를 담았다. 오는 12월 개봉 예정.
[뉴스핌 Newspim] 장주연 기자 (jjy333jj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