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이 기사는 8월 5일 오후 5시3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 결정에 반발한 중국 정부의 보복 조치가 '한류' 산업을 중심으로 강도를 더해가고 있는 가운데, '한류' 산업에 투자한 중국 기업과 자본도 이번 사태에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의 내로라 하는 기업부터 중소형 자본까지 중국 자본이 한국 엔터테인먼트 업계 전반해 깊숙히 침투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른바 중국의 '한국 제한령'은 일부 한류 스타의 중국 내 활동 제한을 넘어서 주요 한국 엔터테인먼트 사의 주가 급락까지 유발, 한국 연예산업을 넘어 자본시장까지 파급력을 확대하고 있다. 4일 JYP, SM, YG, CJ E&M 등 우리나라 주요 엔터테인먼트 관련주의 시가총액은 3600억원 이상이 증발했다.
이들 대형 엔터사의 주가 및 기업가치 하락은 한국 기업과 투자자에게만 손실을 입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주요 엔터사와 문화 콘텐츠 관련 기업에는 중국 자본이 상당 규모로 침투한 상황이어서 중국 기업의 손실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중국 대형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는 올해 2월 SM엔터테인먼트에 355억원을 투자해 4%의 지분을 가지고 있고, 텐센트도 YG엔터의 지분 4.5%를 5월 말 취득했다. 최근 인기드라마 W(더블유)의 제작사 초록뱀미디어의 최대 주주는 중국 DMG그룹이다. 유재석, AOA 등 인기 그룹을 다수 보유한 FNC엔터 역시 중국 기업인 쑤닝유니버셜이 지분을 22%나 가지고 있다.
한국 엔터사 지분을 보유한 중국 주주 기업에 있어 대 한국 투자 규모가 전체 사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기때문에 '한국 제한령'으로 인한 주가 하락 손실로 인한 타격은 미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중국 기업의 한국 엔터사 투자의 궁극적 목표가 한류 콘텐츠를 이용한 부가 사업 확대 추진이라는 점에서 이번 사태는 중국 기업 입장에서도 당혹스러울 수 밖에 없다.
특히 중국 내 '한류의 성공'은 한국 문화 콘텐츠 자체의 경쟁력 외에도 중국 정부의 지원 정책도 큰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최근 중국 정부의 태도변화는 한중 양국 문화 산업 전반에 큰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중 양국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교류와 협력, 투자는 2014년 7월 '중한영화협력협의' 발표 후 본격화 됐다. 중국 정부를 협의서 체결을 통해 한중 합작 영화에 대한 '내국 영화 대우'를 약속했다. 한중 합작 영화는 스크린 쿼터제 대상에서 제외하며, 박스오피스 수입 중 최고 43%를 한국 투자자가 배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 정부는 2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 양국 문화 교류를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이후 한중 양국의 문화 산업계 교류와 협력, 투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일례로 2015년 중국의 화이브러더스가 우리나라의 쇼박스와 함께 3년 내 6편의 한중 합작 영화를 제작하기로 결정했고, 우리나라 CJ는 올해 상하이국제영화제에서 중국의 완다시네마·알리픽쳐스와 함게 12편의 한중 합작 영화를 찍는다고 발표했다.
중국 제작 드라마에서도 한국 연예인의 출연도 급증했다. 당장 올 여름 상영 예정인 '황언서서리(謊言西西里)', '폐취,애파(閉嘴,愛吧)','아애묘성인(我愛喵星人)' 등 다수의 영화에 정수정, 오세훈, 이준기 등 한국의 유명 스타들이 출연한다.
그러나 사드 배치 갈등으로 촉발된 '한류 봉쇄령'으로 양국 문화 산업 전체가 얼어 붇고 있다.
'상애천사천년 2 : 달빛 아래의 교환'(相愛穿梭千年)을 촬영 중인 배우 유인나도 마무리 촬영을 앞두고 드라마에서 하차하게 됐다. 중국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제작사인 후난위성TV는 해당 드라마의 여주인공은 단순 교체하는 것이 아닌 유인나의 촬영분을 모두 삭제할 방침이다. 이 밖에 김우빈·수지의 중국 팬미팅과 걸그룹 와썹의 중국 콘서트도 무기한 연기됐다.
인기 드라마 '시크릿 가든'을 연출한 신우철 PD가 중국 대형 동영상 플랫폼 유쿠(優酷)에 방영을 계획으로 준비 중인 12부작 드라마에도 제동이 걸렸다. 이 프로젝트는 이미 배우 캐스팅 작업까지 완료하고 다음달 크랭크인에 돌입할 예정이었지만, 중국의 유쿠가 방송을 무기한 연기하면서 제작이 잠정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베이징TV도 한국 SBS와 향후 6년 동안 적극적인 콘텐츠 교류 협약을 맺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등 구체적인 협력 프로그램도 세웠지만 7월 중순 이후 돌연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까지 알려진 사례는 몇 개에 불과하지만 향후 비슷한 사태가 줄을 이을 전망이어서 관련된 한국과 중국 기업의 손실과 타격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중국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한국 제한령'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중국 현지에선 방송·영화를 관리감독하는 국가광전총국이 조만간 일시적으로 한국 연예인의 중국 내 활동, 중국 프로그램과 광고 출현을 제한하는 공식 조치에 나설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하게 퍼진 상태다. 다만 감독 당국의 허가를 받은 프로젝트는 기존의 계획대로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움직임에 중국 기업도 애가 타긴 마찮가지다. 텐센트가 독점 방영권을 획득한 W(더블유)의 경우 이미 당국의 허가를 얻었지만 실제 방영이 될 수 있을지 여전히 미지수다.
마침 W가 한국 내에서도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유투브 등 일부 경로로 유출된 W가 중화권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터라 텐센트 입장에선 이번 사태가 더욱 안타까울 수 밖에 없다.
중국 연예오락 산업 전문 매체 위러쯔번룬(娛樂資本論)은 중국내 한류의 인기가 중국 기업과 연예문화 산업 발전에도 큰 공헌을 한 만큼 이번 사태로 중국 관련 업계가 입을 유무형의 손실도 적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태양의 후예' 단독 방영으로 '대박'을 친 중국 동영상 업체 아이치이의 경우 '태후' 한 편으로 유료회원 수가 500만명으로 늘었고, 1억9000만위안의 수익을 실현할 수 있었다. 아이치이와 '태후'의 대박 신화에 고무된 다른 동영상 업체들도 앞다퉈 비싼 가격에 한국 드라마 단독 방영권을 확보한 상황이다. 인기 한국 드라마를 통해 회원수를 늘리고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렸던 중국 기업으로선 뼈아픈 상황일 수 밖에 없다.
중국 영화와 드라마에도 다수의 한국 연예인들이 출연했는데, 이들 영화에 한류 스타를 보고 투자한 중국 기업도 다수다. 중국의 인기 예능 프로그램에도 여러 한국 연예인이 게스트로 출연 중이다. 한국 인기 연예인의 출연해 힘입어 박스오피스와 시청률 상승을 기대했던 방송사와 제작사들도 생각지도 못한 악재에 부딪히게 됐다.
우수한 한국 문화 콘텐츠의 수입, 한국 문화 업계와의 협업, 한류 스타의 등용이 중국 문화 산업의 건전한 발전에도 도움이 됐지만 '한국 제한령'으로 배움의 기회를 잃게 됐다는 것.위러쯔번룬은 직접적인 금전적 손실 외에 중국 문화 산업계가 입을 무형적 손실도 언급했다.
게다가 한류 스타의 출연 제한은 중국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비용 부담을 가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엔터테인먼트 시장이 성숙하기도 전 유명 스타의 개런티가 천정부지로 치솟아 제작비를 높이는 악순환을 형성하고 있었다. 한국 유명 스타는 높은 인기와 실력에 비해 '몸값'이 적정한 수준이었고, 한류 스타의 적정한 개런티가 중국 일부 스타의 비합리적인 개런티 상승을 억제했다는 것이 위러쯔번룬의 분석이다.
이 매체는 한국 연예인을 기용할 수 없게 되면서 일부 중국 유명 스타의 몸값이 더욱 올라가고, 이는 다시 관련 업계의 비용 부담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한국 제한령'으로 치명적인 타격을 입는 대상은 한국 연예인과 엔터테인먼트 업계일 수 밖에 없다.
천샤오펑(陳少峰) 베이징대학 문화산업 연구소장은 "한국의 문화 산업 수출 가운데 절반 이상이 중국 시장에 집중돼있다. 이번 사드 사태로 한국 문화 업계가 입을 충격은 매우 클 것"이라고 밝혔다.
그간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업계 성장은 중국 시장 덕분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중국에 의존해왔다. 이 때문에 '한국 제한령'에 한국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충격은 상당하다.
한국과 중국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하는 한 국내 관계자는 "최근 추진하고 있던 한중 관련 사업이 모두 중단됐다. 중국 방송사들이 한동안 한국 연예인을 출현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상황이 심각하다"고 토로했다.
대형 공중파 방송사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그간 종편의 성장에 위협을 느낀 MBC, SBS 등도 최근 중국 방송국과 협력을 강화하며 시장 타개에 나선 상황이다.
MBC는 중국 둥팡밍주뉴미디어 그룹과 121억원 규모의 콘텐츠 교류 협력을 맺었다. MBC는 안후이위성TV, 후난위성TV와도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SBS는 인기 예능프로그램 '런닝맨'을 저장위성TV에 포맷 수출, 엄청난 수익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