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이 기사는 8월 2일 오후 5시41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중국 반도체 기업 칭화유니그룹(淸華紫光)이 국영 반도체 기업 우한신신(武漢新芯 ·XMC) 지분을 인수한 것을 놓고 세계 반도체 업계는 이번 인수 조치가 반도체 시장의 신흥 강자가 되려는 '중국의 야심'을 드러낸 사건이라며 긴장하는 분위기다.
덩치를 키운 칭화유니를 앞세워 중국 정부가 본격적인 반도체 산업 지원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 실제로 XMC인수도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이하 집적회로펀드)의 주선으로 성사됐다. 칭화유니그룹이 XMC 지분 50%를 갖고, 나머지 지분은 집적회로펀드와 우한시 정부 소유 펀드사가 보유하게 된다.
특히 칭화유니가 대규모 지분을 인수한 XMC는 기술적 측면에서 칭화유니를 뛰어넘는 것으로 알려져 양사의 '연합'이 향후 전세계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내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XMC는 미국에 있는 반도체 기업 스팬션과 함께 3D 낸드플래시 기술을 개발해왔고, 32단 적층 칩의 양산단계에 도달했을 만큼 기술력을 끌어올렸다.
◆ 정부를 등에 업은 '칭화대' 소속 반도체 국유기업
중국 '반도체 굴기(堀起, 부흥을 뜻하는 중국식 표현)'의 기수를 맡게 된 칭화유니그룹은 중국 최고의 이공계 명문대 칭화(淸華)대학에서 세운 중국의 대표적 반도체 기업이다. 칭화유니그룹의 중국어 명칭 '쯔광(紫光 보라색 빛이라는 의미)'도 칭화대학을 상징하는 색상인 보라색에서 따온 것이다.
1988년 설립된 후 2010년 민간 자본을 유치, 혼합소유제를 도입한 후 2013년 중국 반도체 기업 잔쉰(展訊)을 인수하면서 집적회로 산업에 진출했다. 이후 2014년 중국 기업으로는 최초로 28nm SoC 스마트 반도체 개발에 성공하는 등 중국 반도체 업계의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2015년부터는 집적회로 분야를 기업 핵심 사업으로 정하고 반도체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2월에는 국가 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 국가개발은행과 함께 300억위안 규모의 전략적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정부의 전폭적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반도체 시장에서 칭화유니는 이미 상당한 입지를 다진 상태다. 자회사인 쯔광잔루이(紫光展銳)의 경우 전세계 스마트폰 반도체의 1/3, 20% 이상의 SIM카드를 이 업체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삼성, 화웨이, 레노버, HTC, TCL, Micromax 등 국내외 스마트폰 업체에 반도체를 공급하고 있으며, 삼성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반도체의 1/3이 쯔광잔루이 제품이다. 쯔광잔루이는 2016년 전 세계에 6억 5000만개의 반도체를 공급할 계획이다. 쯔광잔루이는 칭화유니그룹이 2013년과 2014년 각각 인수한 잔쉰(展訊)과 루이디커(銳迪科)가 합병해 설립된 회사다. 이 업체는 2015년 4월 28nm LTE, WCDMA SoC 반도체 양산에 돌입하면서 칭화유니그룹과 중국의 반도체 기술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칭화유니는 반도체 공장 건설 설립을 발표했다. 칭화유니 대표 자오웨이궈가 경영하는 둥팡궈신(東方國芯)이 800억위안 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반도체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혔다. 600억위안은 공장 건설에 투입하고, 37억9000만위안은 대만 반도체 업체 리청(力成) 지분 25% 인수에 사용, 나머지 162억1000만위안은 반도체 다운 스트림 업체 인수에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칭화유니그룹에 거는 중국 정부의 기대도 크다. 성공적으로 혼합소유제도를 도입, 기술 혁신과 기업 성장에 성공한 '모범 기업' 인 데다, 반도체 분야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 시진핑 국가주석, 리커창 총리 등 현 정부 지도자는 물론 후진타오 전 주석과 원자바오 전 총리 등도 칭화유니그룹을 방문해 시찰한 바 있다.
한 업계 전문가는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는 국가의 지원을 받는 다른 반도체 기업보다 칭화유니그룹의 반도체 사업의 경쟁력이 더 우수하다고 본다. 칭화유니그룹은 국유기업이지만 민간 전문가가 회사를 경영하고 있고, 민간 투자금도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공격적인 기업 인수, 우회상장 노린 전략적 선택
칭화유니는 지난해부터 대규모 기업 인수를 추진해오고 있다. 대표 자오웨이궈(趙偉國)의 진두지휘 아래 칭화유니는 올해 상반기에만 14개 상장사의 지분에 투자했다. 2009년 칭와유니 이사장에 취임한 후 자오웨이궈 대표는 인수합병 전략을 주도하고 있다. 2013년부터 올해까지 지분 인수에 투자한 자금이 1000억위안 이상이다.
지분 투자는 반도체 업종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다. 부동산 개발 기업인 양광구펀陽光股份, 화학섬유 업종인 신룽홀딩스(欣龍控股), 반도체 설비 업체인 *ST중파(重罰), 의류제조업 랑사구펀(浪莎股份) 등이 칭화유니가 투자한 기업들이다.
이 같은 투자 전략에 대해 자오웨이궈 대표는 순수한 '재무적 투자'라고 선을 긋고 있다. 그러나 시장 관계자들은 칭화유니그룹이 A주 우회상장을 위한 '쉘기업' 확보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장 유력한 '증거'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ST중파에 대한 지분 확대 움직임이다. 올해 1월 칭화유니그룹은 *ST중파에 대한 지분을 5.08%로 확대한 것으로 알려졌고, 현재 이 기업에 대한 보유 지분 비율은 7.99%로 늘어났다. 문제는 칭화유니가 지분을 확대하기 하루 전 *ST중파가 엄청난 규모의 적자 실적을 발표하며 상장폐지 위험성을 알렸다는 것. 시장 퇴출이 임박한 기업에 대규모 지분을 투자한 것이 결국 우회상장을 위한 것이라고 시장은 분석하고 있다.
칭화유니그룹이 투자한 다른 기업들도 낮은 밸류에이션과 주가, 지분 분산, 실적 불량 등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 우회상장을 준비 중이라는 시장의 예상에 힘이 실리고 있다.
◆ '시대'가 배출하고 '칭화'가 키운 '기회'의 사나이, 자오웨이궈 대표
칭화유니그룹의 자오웨이궈 대표는 반도체 업계뿐만 아니라 자본시장에서도 유명한 인물이다. 올해 1분기 지분을 인수한 14개 회사 외에도, 최근 1년 동안 자오 대표의 지휘 아래 칭와유니가 지분을 인수한 기업은 11개에 달한다. 금액으로는 600억위안 규모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자오웨이궈는 모교인 칭화대학 인맥을 통해 기업을 인수, 약 20억달러의 재산을 축적했다.
특이한 점은 자오웨이궈가 개인 기업을 경영하는 억만장자이자 칭화유니라는 중국 반도체 대표 국유기업을 이끌어가는 경영인이라는 것. 중국 국유자산 시스템에서 보기 드문 사례다. 현재 자오웨이는 2004년 설립한 젠쿤투자그룹이 대표이자 칭화유니 이사장을 겸하고 있다.
자오웨이궈의 인생과 성공에서 '칭화대학'은 빠지지 않는 핵심 키워드다. '칭화대학'을 통해 그는 부와 명예, 사회적 지위를 모두 거머쥐게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1967년 신장(新疆)의 한 산촌의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어려선 돼지와 양을 키우며 배고픈 시절을 보냈다"고 어린 시절을 회고한 바 있다.
그러나 1985년 칭화대학 전자공학과에 입학 한 후 그의 인생은 달라졌다. 칭화대를 졸업한 그는 중국 IT업계에서 10년 동안 엔지니어로 활동했고, 그 사이 둥팡궈신을 창립했다.
훗날 칭화대에서 다시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칭화유니그룹에 입사하게 됐고, 1997년 칭화유니를 떠나 막 증시에 상장한 칭화대학의 또 다른 과학기술 회사 칭화둥팡에 합류하게 된다.
당시 무섭게 피어오르던 IT '버블'과 중국 경제의 고속 성장도 자오웨이궈를 성공의 길로 인도했다. 1998년 그가 50만위안을 투자해 의료관련 인터넷 사이트를 열었고, IT 열풍 덕에 그는 어렵지 않게 500만달러의 벤처투자를 유치할 수 있게 됐다.
큰 돈을 쥐게 된 자오 대표는 2004년 100만위안을 가지고 고향인 신장으로 돌아가 부동산 개발업에 뛰어들었다. 경제성장과 함께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던 시기와 맞물려 자오 대표의 부동산 사업도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 100만위안으로 시작한 부동산 사업은 불과 5년 만에 45억위안의 수익을 창출했다.
자오 대표는 "2003~2008년 중국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던 시기다. 부동산 투기 열풍도 극에 달했다. 그 당시 나는 돈을 버는 게 아니라 돈을 '찍어내는 수준'에 달했다"고 회고했다.
자오 대표는 기회를 포착하는 예민한 후각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이미 억만장자 반열에 오른 그는 칭화유니그룹의 혼합소유제 추진 과정에서 또 다른 성공의 기회를 엿보게 된다.
2009년 칭화유니그룹은 자오웨이궈가 세운 '베이징젠쿤투자공사'의 자금을 유치했고, 같은 해 6월 칭화대학교의 추천으로 칭화유니그룹 총재에 오르게 된다.
자오 대표는 "당시 칭화대학 산하 기업 가운데 칭화유니의 상황은 매우 좋지 않았다. 운영 상황이 워낙 좋이 않아 내가 투자할 기회를 얻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자오웨이궈 개인 기업인 젠쿤그룹이 칭화유니그룹의 지분 49%를 보유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