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수익성 악화부터 생산성 정상화까지 '말말말'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지난달 미국 고용은 버라이존의 파업 사태를 감안하더라도 실망을 넘어 ‘쇼크’라는 것이 시장의 반응이다.
월 20만건을 유지하던 신규 고용이 3만8000건으로 곤두박질 친 배경은 무엇일까.
우선 투자자들이 시선을 모으는 곳은 버라이존이다. 고용 지표가 발표되기 앞서 6주간에 걸친 버라이존 직원들의 파업으로 인해 지난달 고용이 12만건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채용 공고를 살피는 구직자들 <출처=블룸버그> |
이를 감안하더라도 실제 수치가 시장 전망치 최하단의 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나자 버라이존의 충격이 당초 예상보다 얼마나 더 컸는가에 관심이 몰렸다.
노동부에 따르면 버라이존의 파업 사태에 따른 지난달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 감소 폭이 3만5000건으로 파악됐다.
2010년 9월 이후 최저치로 후퇴한 지표를 설명하기에는 턱없이 역부족이다. 버라이존 충격이 없었다 하더라도 지난달 신규 고용이 7만3000건에 그친 셈이기 때문이다.
업계 이코노미스트 사이에 미국 고용 시장이 일회적인 변수로 인해 꺾인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문제가 자리잡고 있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실제로 노동부가 실시한 별도의 가계 서베이에 따르면 지난 4개월에 걸쳐 미국 고용 창출이 눈에 띄게 둔화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이익과 매출액이 지난해 하반기 이후 연이어 감소한 데 따라 신규 고용과 설비 투자가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최근 시간당 평균 임금 상승이 신규 고용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가드 레바논 컨퍼런스 보드 이코노미스트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예상보다 가파른 임금 상승이 기업들의 고용 발목을 붙들고 있다”며 “가뜩이나 이익과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상황을 감안할 때 월 20만건 이상 신규 고용이 한계를 맞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익 악화에 따른 기업들의 긴축 경영이 얼마나 강도 높게, 얼마나 장기간 이어지는가에 따라 고용 회복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내다보고 이다.
이번 고용 지표 악화가 미국 경제의 침체 가능성을 예고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빠른 회복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실물경기 충격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경고다.
일부에서는 생산성 향상이 지난달 고용 악화의 결정적인 배경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경제자문위원회 전 위원장을 지낸 오스턴 굴스비 시카고대학 부스경영대학원 교수는 이날 CNBC와 인터뷰에서 “지난 수개월에 걸쳐 주장했던 것처럼 생산성이 정상 수준을 회복할 때 고용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지난달 신규 고용이 대폭 위축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라고 강조했다.
생산성이 높을 때 기업들이 인력을 늘려야 할 이유가 약화된다는 얘기다. 지난달 드라마틱한 고용 후퇴는 미국의 생산성이 턴어라운드를 이루기 시작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으로 볼 수 있다고 굴스비 교수는 주장했다.
정반대의 의견도 나왔다. 고용 악화가 생산성 향상이 아니라 미국 경제의 성장이 꺾인 데 따른 결과라는 진단이다.
마이클 페롤리 JP모간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전 업종에 걸쳐 고용 둔화가 두드러졌다”며 “미국 경제 성장 모멘텀이 꺾이는 정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예상보다 극심한 고용 감소로 인해 연방준비제도(Fed)의 6월 금리인상이 불발될 것이라는 의견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7월 긴축 역시 의미있는 지표 회복이 이뤄질 때 가능한 얘기라는 판단이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