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중국, 억만장자 수 미국 앞질렀다.. 한국은 31명

기사입력 : 2016년02월25일 10:31

최종수정 : 2016년02월25일 10:31

胡润百富 보고서 "중국 억만장자 568명…1위는 왕젠린"
상위 100인 명단 내 한국인은 이건희 회장이 유일

[시드니= 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지난해 중국의 억만장자 수가 미국을 처음으로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둔화와 증시 폭락, 부패 척결 등의 악재들도 중국 부자들의 자산 증식에는 큰 걸림돌이 되지 않은 모습이다.

24일(현지시각) 공개된 후룬 글로벌 부호명단(Hurun Report, 胡润百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억만장자 수는 568명으로 1년 사이 90명이 늘면서 국가 순위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해 27명이 명단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후룬부호리스트>

미국은 억만장자 수 가 535명으로 직전해보다 2명이 더 줄면서 중국보다 아래로 순위가 밀렸으며, 인도는 111명으로 1년 사이 갑부 수는 14명이 늘었고 국가별 순위는 3위로 이전과 같았다.

도시별로도 베이징이 100명으로 1년 새 32명이 늘면서 1위로 올라섰고, 뉴욕은 95명으로 4명이 늘긴 했지만 순위는 2위로 밀렸다.

전 세계적으로는 지난해 억만장자 수가 1년 전보다 99명이 늘어난 2188명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고, 이들의 총 자산액도 7조3000억달러(9015조5000억원)로 9%가 뛰었다. 독일과 영국의 국내총생산(GDP)을 합친 금액보다 갑부들의 지갑이 더 두둑한 셈이다. 이 중 중국 갑부들의 총 자산액은 1조4000억달러(1729조원)로 집계됐다.

루퍼트 후지워프 후룬리포트 회장은 "중국 경기둔화나 주식 폭락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중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 많은 부호들을 만들어 냈다"며 갑부 탄생에는 신규 상장이 큰 몫을 했다고 평가했다.

후룬 글로벌 부호 리스트는 지난달 15일 기준으로 한 억만장자들의 자산액을 조사해 작성됐는데 작년 중국 억만장자 수를 335명으로 발표한 포브스와는 집계 결과가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포브스 억만장자 조사에서는 미국인 부호 수가 536명으로 중국을 여전히 크게 앞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인터뷰 당시 후지워프 회장은 실제 중국의 억만장자 수는 자신들의 집계치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며 불법 자산취득 등을 이유로 공개를 꺼려하는 부자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번 후룬 조사에서 중국 부호들의 주요 자산 원천은 부동산이 11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제조업 부자가 94명, IT관련 부자가 68명으로 뒤를 이었다.

세계 최대 갑부는 빌게이츠로 자산액 800억달러(98조8000억원)로 집계됐으며, 2위는 순 자산 680억달러(84조원)의 워렌 버핏이 차지했다. 중국에서는 왕젠린(王健林) 완다그룹 회장 일가가 260억달러(32조원)로 최고 갑부로 선정됐다.

한편, 이번 2016년 후룬보고서의 상위 100대 부호 명단 내에 한국 국적 부호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14계단 오른 공동 90위를 기록해 유일하게 포함됐다. 순자산은 110억달러(13조5800억원)로 변동이 없는 것으로 평가됐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대표이사 회장은 무려 1254계단 약진하며 138위에 이름을 올렸다. 순자산가치가 517% 급증한 86억달러(10조6184억원)로 집계되어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1597계단 오른 163위에 순자산이 579% 뛰어오른 75억달러(9조2633억원)로 기록됐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순위가 35계단 내려간 329위로, 순자산이 25% 증가한 46억달러(4조6815억원)로 나타났다(환율 1달러 당 1235.10원을 적용).

그 외에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612위, 30억달러) 김정주 넥슨 대표이사 최태원 SK회장 이서현 삼성물산 패션부문 사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공동 906위, 22억달러) 이재현 CJ그룹 회장(955위, 21억달러) 김범수 카카오 의장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이사 회장(공동 1022위, 20억달러) 구본무 LG그룹 회장(1082위, 19억달러)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이화경 오리온그룹 부회장(공동 1145위, 18억달러), 이해진 네이버 의장(1308위, 16억달러), 허영인 SPC그룹 회장(1505위, 14억달러)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이명희 신세계 회장 홍라희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1601위, 13억달러),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1703위, 12억달러), 장평순 교원그룹 회장(1879위, 11억달러), 이준호 NHN엔터테인먼트 회장 정몽진 KCC 대표이사 회장 조양래 한국타이어 회장 구본식 희성그룹 부회장 구본준 LG 부회장(1964위, 10억달러) 등 총 31명이 순자산 10억달러 이상인 후룬 전체 억만장자 명단에 올라있다.

2016 후룬 부호명단 내 한국인 현황  <자료=후룬리포트>

[뉴스핌 Newspim] 권지언 시드니 특파원 (kwonji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