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도 소재센터 신설…계열사별 시너지 기대
[뉴스핌=김연순 황세준 기자] 삼성전자가 10일 자동차 전장사업 진출을 위해 '전장사업팀'을 신설하는 등 삼성그룹 계열사들이 조직개편을 마무리했다. 2016년 삼성 계열사 조직개편의 핵심은 미래 먹거리 신사업 강화와 시너지 창출, 조직 슬림화 등으로 요약된다.
![]() |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 = 뉴스핌DB> |
현재 삼성SDI에선 대표적인 전장부품 중 하나로 전기차용 배터리를, 삼성전기에선 자동차용 부품으로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ISM(카메라모듈)을, 삼성디스플레이에선 패널을 생산하고 있다.
자동차 전장은 차량에 들어가는 모든 전기·전자·IT 장치를 말한다. 차량용 반도체를 비롯해 텔레매틱스, CID(중앙정보처리장치), HUD(헤드 업디스플레이) 등이 모두 포함된다. 삼성전자 전장사업은 단기간 내 역량 확보를 목표로 초기에는 인포테인먼트, 자율주행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하고 향후 계열사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반도체 전문가이면서 마스터인 권오현 부회장이 직접 전장사업팀을 관장하면서 전자계열사 전장부품 사업을 총괄하고 조직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삼성전자 전장사업팀 신설로 가시적인 계열사별 연계로 이어지진 않겠지만, 향후 자동차 전장사업에서 게열사별 시너지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고위관계자는 "(전장사업팀을) 권오현 부회장이 관장한다는 것은 직접 보고받고 사업 추진 관련해 의사결정을 하겠다는 것"이라며 "(전기)자동차 부품공급 업체로서 모양세를 갖추고 강화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전기차뿐 아니라 다양하게 본격적으로 공략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계열사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동시에 발표된 삼성SDI 조직개편에서도 삼성의 신사업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삼성SDI는 자동차용 배터리 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재센터를 신설해 김유미 신임 부사장이 맡도록 했다. 삼성SDI 기존 조직틀을 거의 바꾸지 않으면서 유일하게 신설한 것이 배터리 소재센터다.
삼성SDI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에서 가시적인 조직변화는 없었지만 전반적인 방향은 전기차 배터리사업과 연구개발(R&D) 강화, 조직 효율화로 보면 된다"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또한 이날 조직개편을 통해 DS부문 산하에 사물인터넷(IOT)사업화팀을 신설했다. IOT 역시 삼성이 역점을 두고 있는 미래 먹거리 중 하나다. IOT사업화팀은 미국 실리콘밸리에 자리 잡은 SSIC(삼성전략혁신센터) 산하 조직으로서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위한 반도체 모듈을 개발, 삼성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세트업체에 공급함으로써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이날 삼성SDS도 솔루션 사업부문을 신설하는 등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삼성SDS는 솔루션 사업부문 신설을 통한 사업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물류사업 확대, 고객사 지원 강화를 위한 조직 재편에 초점을 맞췄다.
이날 조직개편을 마감한 삼성물산 역시 4대 사업부문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부문별 사업에 중점을 두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조직은 더욱 강화했다. 삼성물산은 건설, 리조트, 패션, 상사 등 부문별 경영을 이어가되, 중복되는 건설 사업만 정리해 유사한 사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날 정기 조직개편과 보직인사로 정기인사 일정을 마무리하고 올해 안으로 전략회의와 글로벌회의를 실시해 2016년 재도약을 위한 정비 작업을 연내 모두 마무리할 계획이다.
[뉴스핌 Newspim] 김연순 황세준 기자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