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말 3000명 이어 2017년까지 1만명 감원 전망…사측 "사실 무근"
[편집자] 이 기사는 11월 12일 오후 3시 32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강효은 기자] 하청업체에 대한 임금체불 논란이 빚어졌던 현대중공업 해양사업부 내에서 하청근로자에 대한 대규모 구조조정설이 불거지고 있다. 올 연말까지 사내하청 근로자 약 3000명이 퇴출될 것이라는 구체적인 숫자까지 거론되는 등 하청근로자들 사이에서 '해고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모습이다.
11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울산 현대중공업 해양사업부의 Q204 FPSO(부유식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와 고르곤(Gorgon) 등 일부 프로젝트가 조만간 마무리된다. 이에 따라 연말까지 3000~5000명의 현대중공업 하청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될 전망이다.
Q204 FPSO는 오일 메이저인 BP사가 발주한 것으로 이달 공사가 마무리되며, 잦은 설계변경 등으로 차질을 빚어온 호주 고르곤 FPSO 프로젝트도 다음달에는 공사가 끝난다.
아울러 현대중공업이 확보하고 있는 해양플랜트 일감을 고려할 때 현재 1만5000명 수준인 해양사업부 사내하청근로자 숫자가 2017년에는 5000명 수준으로, 1만여명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현대중공업 사내하청 한 관계자는 "11월과 12월에 공사가 끝나는 점을 감안하면 지금 협력업체에 물량이 확보가 되야 하는데 안된 상황이다"며 "내부적으로 계획이 있다고 다 파악이 된 거고, 작년부터 기성비 삭감으로 100개 업체가 짤리려 나갔다. 그간의 전례를 봤을 때 공사가 끝나면 올해 3000여명이 자연 해고당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현대중공업 악포 부유식 원유생산·저장설비(FPSO) 전경 <사진=현대중공업> |
대규모 구조조정설이 퍼지면서 사내하청 근로자들의 불안감은 고조되고 있다.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는 최근 소식지를 통해 현대중공업의 임금체불이 일시적인 사태가 아님을 지적하고, 이같은 사측의 행보에 대해 하청 구조조정의 일환이라고 주장했다.
사내하청 관계자는 "하청노동자들에 대한 고용유연성을 기반으로 해양플랜트에서 나온 손실금을 충당하려는 사측의 전략이 가속화될 수밖에 없으며, 결국 이는 현대중공업이 종로에서 맞은 따귀를 하청노동자들이 덤탱이 쓰는 꼴"이라며 "현재 벌어지고 있는 기성삭감과 임금체불, 업체 폐업은 대량 실직의 서막이며, 선택의 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그동안 사내 하청업체들과 기성비 삭감 여부를 놓고 줄곧 대립해 왔다.
지난 7월 하청업체 46곳의 급여가 연체되는 사태가 발생했고 10월에도 9월분 월급이 약 10일 넘게 연체돼 하청업체 직원들이 제 날짜에 월급을 지급받지 못하기도 했다. 현대중공업 하청업체 근로자들 사이에서는 내년 2월까지 급여 지급이 지연될 것이란 소문까지 돌고 있다.
대규모 구조조정설에 대해 현대중공업은 사내하청 측의 일방적인 주장이라며 '사실 무근'임을 강조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사내하청 인력구조조정설은 사내하청업체 측의 일방적인 주장일 뿐 전혀 사실 무근이다"며 "수주가 없고 해양플랜트에서 대규모 손실이 나면서 불안감에 그런 말들이 나오고 있는 것 같다. 현장 분위기를 충분히 공감하고 있으며, 시장 상황이 워낙 안좋다보니 이런식으로 소문이 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을 비롯한 국내 조선 빅3의 올해 적자 규모는 10조원에 육박한다. 그 중 해양 플랜트에서만 8조원 이상의 손실이 났다. 현대중공업 역시 올 3분기 연결기준 678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데 이어, 해양플랜트 부문에서만 6429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저유가 상태가 지속되면서 해양플랜트 발주사들의 계약 미이행과 계약 취소가 잇따르며 국내 조선업계의 위기가 한층 더 격화된 것 또한 사내하청 근로자들의 구조조정설이 대두된 주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현대중공업도 노르웨이 프레드 올센 에너지사로부터 반잠수식 시추선 계약을 해지 통보를 받았고 머스크로부터 1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8척의 옵션 행사 결정을 연기하겠다는 통보를 받기도 했다.
이밖에 지난 9월 노르웨이 유전개발업체 시드릴사는 현대삼호중공업에게 건조 중이던 해저유전 시추선 계약을 취소해 1700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유가하락과 유동성 위기로 발주사들의 해양플랜트의 발주량이 급감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가장 큰 치명타를 입은 곳은 국내 조선사"라며 "적자에 허덕이는 회사 입장에서는 수주가 없기 때문에 하청을 더 쓸 이유가 없고 이로 인해 하청은 일자리를 잃게 되면서 양측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강효은 기자 (heun2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