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헬로비전 인수로 '규모의 경제' 추구..업계 "독주 부작용 우려된다"
[편집자] 이 기사는 11월 2일 오후 3시 19분 뉴스핌의 프리미엄 뉴스 안다(ANDA)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뉴스핌=김선엽 민예원 기자] 무선통신 업계 지존 SK텔레콤이 유선과 방송 시장에서도 1위 사업자에 도전한다. CJ헬로비전 인수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제대로 구현하겠다는 포부다.
SK텔레콤은 CJ헬로비전 인수 합병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초고속인터넷과 방송(IPTV+케이블)과 알뜰폰 시장에서 각각 30%에 육박하는 시장 지배력을 갖추게 된다. 정체되고 있는 케이블 SO(유선방송사업자) 방송 시장에 뒤늦게 뛰어든다는 우려도 제기되지만 SK는 "우리가 하면 다르다"며 자신감을 피력하고 있다.
다만, 업계의 반발이 예상되는 만큼 주무부처의 인허가 심사 결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또한 SK브로드밴드가 우회상장함에 따라 한국거래소의 심사도 필요하다.
SK텔레콤은 2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CJ오쇼핑이 보유한 CJ헬로비전 지분 53.9% 가운데 30%를 5000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의했다. CJ오쇼핑의 CJ헬로비전 잔여 지분 23.9%는 향후 양사간 콜·풋 옵션 행사를 통해 인수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케이블 업계 1위 사업자를 품게 됐다. SK텔레콤은 또 하나의 자회사인 SK브로드밴드와 CJ헬로비전을 합병시킨다는 계획이다.
합병이 완료되면 SK브로드밴드는 상장법인인 CJ헬로비전에 통합되어 우회상장 된다. 인수 및 합병 완료는 내년 4월 중 이뤄질 예정이다.
◆ CJ헬로비전, 나홀로 사업에 한계..SKB와 '규모의 경제' 실현
자체적으로 IPTV를 키워왔던 SK는 왜 갑자기 케이블 시장에까지 뛰어든 것일까. CJ헬로비전은 유선방송 외에도 다양한 영역에 도전해 왔다. 올 2분기 기준으로 케이블TV 410만명, 초고속인터넷 89만명, 인터넷전화 71만명, 알뜰폰(MVNO) 88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실적도 나쁘지 않다. 지난해 매출 1조2703억원에 영업이익 1021억원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업계에서는 경쟁 심화를 이유로 CJ헬로비전의 미래에 의문을 표시해 왔다.
이통사들이 유무선 결합상품을 내걸고 초고속인터넷과 IPTV 등 유선시장에서 공격적인 할인 마케팅을 진행해 왔기 때문이다. 무선이 없는 케이블TV는 정부가 시장 과열을 진정시켜 주기만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처지다.
게다가 케이블 각 사업자들이 권역별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실상 통신사와의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는 평가다. CJ헬로비전이 알뜰폰 사업에 매진한 이유기도 하다.
하지만 이번에 CJ헬로비전의 대주주가 SK텔레콤으로 바뀜에 따라 유·무선 결합상품을 통해 초고속인터넷 사업과 방송 사업에서 가입자 확보에 있어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나아가 SK텔레콤은 통합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로 굳건히 자리매김하겠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장동현 사장 취임 이후 미래 성장을 위한 ‘3대 차세대 플랫폼’ 혁신 전략을 추진해 왔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케이블TV 사업이 성장성에 한계가 있다고 하지만 누가 하는지에 따라 다를 수 있는 부분"이라며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를 통해 유선 비즈니스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합병을 통해 규모의 경제와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같은 이유로 이번 합병이 공정한 경쟁을 해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기존 사업자들이 반발하고 나서는 이유다.
KT는 "유선에 이어 유료 방송 서비스까지 무선의 끼어 팔기 상품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LG유플러스 역시 "유료 방송시장에서 SK텔레콤의 무선 시장 점유율에 따라 시장 지배력이 전이되어 유료방송 사업자들이 고사 상태로 내몰릴 수 있으며 시장 지배력의 전이 문제로 공정경쟁을 저해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반발했다.
◆ 업계 "1위 사업자 독식 우려"…미래부 "검토 필요"
SK브로드밴드와 CJ헬로비전은 내년 초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각각 승인을 받아 합병을 추진한다. 합병 비율은 ‘CJ헬로비전: SK브로드밴드 = 1: 0.4756554’다.
상장사인 CJ헬로비전의 합병가액은 최근 주가를 반영해 1만680원으로 결정됐다. 비상장법인인 SK브로드밴드의 합병가액은 본질가치(자산가치와 수익가치를 각각 1과 1.5의 비율로 가중산술평가한 가액)로 평가해 5080원으로 산정했다.
합병안이 주총을 통과하면 합병 신주를 발행하며 SK브로드밴드 지분 100%를 갖고 있는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 주식 1주당 신주 0.4756554주를 받게 된다. SK브로드밴드는 소멸된다. 합병 법인에 대한 SK텔레콤의 지분율은 75.3%, CJ 오쇼핑의 지분율은 8.4%가 된다.
CJ헬로비전의 경우 현재 CJ오쇼핑이 최대주주며 5% 이상 주주는 국민연금공단(8.44%), Sable(Asia)Limited(6.66%), 알리안츠글로벌인베스터스자산운용(주)(5.01%), 우리사주조합(0.87%) 등이다. 합병 결의는 출석 주식수 3분의 2 이상, 의결권 주식수 3분의 1 이상의 찬성을 요구해 어렵지 않게 통과가 예상된다.
주총 통과에는 큰 무리가 없어 보이지만, 미래창조과학부의 심사를 넘어설지는 확신하기 어렵다.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르면 미래부는 공익성, 이용자 보호, 타 기간통신사업과의 경쟁에 미치는 영향, 재정능력 등을 고려해 인가를 진행한다. 최종 인가 결정까지는 90일 정도가 소요된다.
이 과정에서 ′독과점 문제′가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있다. SK텔레콤이 이동통신 업계에서 1위를 하고 있는데, 알뜰폰 1위 사업자인 CJ헬로비전까지 인수하게 되면 ′통신은 SK텔레콤이 다 한다′라는 시선을 피해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번 합병으로 방송 시장에도 막강한 파급력이 예상돼 견제의 목소리가 예상된다.
이와 관련 미래부 고위관계자는 "아직 인허가 신청을 안했기 때문에 독과점 논란에서 대해서는 신청 이후 검토를 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선엽 민예원 기자 (sunu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