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신라, 종가음식 조리서 '수운잡방' 대표요리 프로모션
[뉴스핌=함지현 기자]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종가(宗家)음식이라는 문화유산을 상품화하고 대중화하기 위해 팔을 걷어 붙였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28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 한식당 라연에서 진행된 국내 최고의 종가음식 조리서인 수운잡방(需雲雜方)을 토대로 한식을 재창조한 `미미정례(味美情禮)` 행사에서 환하게 웃고 있다. <김학선 사진기자> |
호텔신라는 광산 김씨 설월당 종가를 초청해 종가 음식의 본질인 맛(味), 멋(美), 정(情), 예(禮)에 집중하면서 현대의 요리기법을 적용해 종가음식을 코스 메뉴로 새롭게 재탄생시켰다. 이른바 '미미정례' 프로젝트다. 이를통해 서울신라호텔 한식당 셰프들은 전통 한식 '수운잡방'의 조리법을 전수받고, 광산 김씨 설월당 종부는 5성호텔인 서울신라호텔의 최신 조리기법과 글로벌 수준의 메뉴 구성, 차림방법 등을 익힐 수 있게 됐다.
'수운잡방'의 대표요리인 삼색어아탕을 비롯해 서여탕, 전계아, 육면이 본연의 맛을 지키면서도 세계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재탄생했다고 호텔측은 자평했다.
뿐만 아니라 이번 행사 기간동안 500년 된 국내최고의 조리서 '수운잡방'도 전시한다. '수운잡방'은 조선 중종 때 김유(金綏, 1491~1555)가 식품 가공과 조리 방법에 관해 저술한 전통 조리서로 약 500년 전 안동 사림계층의 식생활을 엿볼 수 있는 자료다.
이번 행사에 참가한 이부진 사장은 "종가음식은 우리 나라의 전통과 문화를 보여 주는 자랑스럽고 지켜 나가야 할 문화유산"이라며 "종가음식 알리는데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이날 광산 김씨 설월당 종부에게 "어렵게 종가음식을 지켜오셨다는 것을 듣고 반성을 했다"며 "더 빨리 찾아뵀어야 한다는 죄송한 마음도 든다"고 말했다. 종부는 이날 이 사장을 만난 자리에서 그동안 종가 음식을 지키기 위해 애써 온 이야기를 하며 눈물까지 보였다는 후문이다.
이 사장은 "이번에 함께 하게돼 직원들이 자부심도 많이 느꼈다"며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감사하다"는 말도 계속 반복했다.
호텔신라는 향후 다른 종가 음식들도 대중화·상품화 할 수 있도록 논의를 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경북과 삼성이 창조경제 문화협력 사업으로 종가음식 산업화를 지원키로 결정한 데 따른 것이다.
경북에는 241개의 종가가 있으며, 문화재로 지정된 곳이 120곳에 달할 정도로 전국에서 종가문화가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받는 곳이다. 여기에 숙박와 음식을 함께 취급하는 호텔신라가 만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호텔신라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알리고 계승·발전시켜 나가는 차원에서 '종가음식 상품화'와 '고택관광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종가음식 상품화는 이번 '수운잡방' 행사로 본격화 됐으며, 고택관광 활성화는 현재 총 40여 개의 고택을 일일이 방문하는 등 실사를 마치고 고택 숙박상품 개발과 숙박시설 전반의 운영 컨설팅과 서비스 교육 등 지원 방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경북도 김관용 도지사, 김광림 국회의원(경북 안동),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 김진한 센터장, 미래부 이석준 차관, 호텔신라 이부진 사장 등이 참석했다.
[뉴스핌 Newspim] 함지현 기자 (jihyun031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