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월세가구 비율 꾸준히 상승…오피스텔과의 임대수익률 차이 좁혀져
[뉴스핌=김승현 기자] 그동안 서민들의 내집마련 대상으로만 인식됐던 수도권 중소형아파트가 임대사업 재테크 상품으로 '재발견'되고 있다.
저금리 시대에 월세집이 늘고 월 임대료가 오르자 임대수익률도 큰 폭으로 뛰고 있는 것. 특히 매맷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경기·인천지역 중소형 아파트는 연 임대수익률 4%를 기록하며 수익형 부동산의 '대명사'로 꼽히는 오피스텔을 바짝 뒤쫓고 있다.
3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서울 중소형아파트 연간 임대수익률은 3.4%로 지난 2010년 상반기 2.83%에서 5.7%포인트 올랐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5.77%에서 5.25%로 오히려 0.52%포인트 낮아졌다.
대표적인 수익형부동산인 오피스텔과 중소형 아파트 간 임대수익률 격차가 2.94%포인트에서 1.85%포인트로 줄은 것.
경기도와 인천은 더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경기 중소형아파트 연간 임대수익률은 3.51%에서 4.06%로 0.55%포인트, 인천은 3.66%에서 3.99%로 0.33%포인트 올랐다.
반면 경기 오피스텔 수익률은 6.38%에서 5.66%로, 인천은 7.46%에서 6.34%로 각각 하락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는 오피스텔에 비해 규모가 크다. 때문에 매맷값은 높은 반면 면적당 임대료는 오히려 오피스텔보다 낮다. 또 오피스텔은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집값의 4.6%에 달하는 취득세를 돌려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상 월세 임대 아파트는 오피스텔보다 임대수익률이 연 3% 이상 낮게 형성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아파트 시장이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되면서 월세 임대주택의 수익률도 오피스텔을 바짝 뒤쫓고 있는 상황이다.
![]() |
| <사진=김학선 기자> |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거실태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4년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지역 총 가구수 871만2233가구 중 월세가구(사글세 등 포함)는 209만1240가구로 24%를 차지했다. 월세 주택은 지난 2008년 17.5%에서 2010년 22.1%, 2012년 22.9%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전세 중심인 주택임대차시장 구조에서 월세 주택의 비중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올 상반기 전·월세 주택거래량 가운데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43.2%로 지난 2011년 상반기보다 10.8%포인트 늘었다.
월 임대료도 올랐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2008년 말 대비 올해 상반기 기준 서울지역 중소형 아파트(전용면적 59㎡ 이하) 평균 월 임대료는 81만4300원에서 102만3800원으로 25.72% 상승했다.
경기도는 58만2300원에서 74만2900원으로 27.57%, 인천은 50만7700원에서 62만200원으로 22.14% 올랐다.
같은 기간 중소형 아파트 매맷값 상승률이 서울 4.32%, 경기 7.05%, 인천 1.31%인 점과 비교하면 월 임대료는 20%포인트 이상 더 오른 것이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중소형 아파트는 대형 아파트보다 상대적으로 수요가 풍부해 월세 거래가 잘 이뤄진다”며 “특히 수도권에서는 1주택만으로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이 가능하고 취득세와 재산세 등 세금혜택도 중소형이 유리해 투자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 |
| <자료=포애드원> |
[뉴스핌 Newspim] 김승현 기자 (kimsh@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