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쪽 자금유입 증가…규제·유동성 불확실
[뉴스핌=김성수 기자] 글로벌 자산운용 업계의 운용자산 규모가 3년 연속 사상 최고치 경신 행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연간 서베이 보고서를 통해 2014년 기준 글로벌 자산운용 업계의 운용자산 규모가 2013년보다 8% 증가한 74조달러에 도달했으며, 업계 이익도 1020억달러로 7% 증가하면서 2007년 이후 최고치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자산운용산업 성장 추세는 펀드운용사들이 직접대출 등 기존에 은행들이 독점하던 분야에 진출하면서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자금 순유입은 유럽쪽이 주도했다. 유럽은 주로 유럽 채권 쪽으로 자금유입이 상대적으로 컸고 미국은 대형주식형으로 자금 유입이 많았다. 아시아태평양지역은 머니마켓상품 쪽의 자금유입이 순유입액의 압도적으로 컸다.
전체 운용자산 내 상품별 비중을 보면 액티브코어형이 39%(29조달러)로 비중 감소세가 이어졌고, 패시브형이 14%(11조달러)의 늘어난 비중을 유지한 가운데 대안투자 쪽이 11%(8조달러)로 증가 추세를 이어갔다. 그 외에 앨솔루트리턴, 타겟형, 글로벌자산분배형 등 솔루션 투자가 13%(9조달러)로 계속 비중 확대 추세를 보였다. 비중 증가 추세에 있던 헤지펀드, 사모펀드 등 액티브스페셜티 투자가 24%(18조달러) 비중에서 정체했다.
이번 조사는 135개 글로벌 자산운용업체를 상대로 이루어졌으며, 이들 업체가 운용하는 자산은 모두 39조달러로 전체의 53%를 차지했다.
글로벌 자산운용 업계의 운용자산 규모 <출처=보스턴컨설팅그룹(BCG)> |
일부 글로벌 규제기관에서는 이에 따라 대형 자산운용사도 은행처럼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기관(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으로 지정해야 할지에 대한 논쟁을 벌이고 있다.
BCG는 다만 자산운용 업계의 순익 증가세는 운용사들이 신규 자산을 유치해서가 아니라 글로벌 시장 자산가치 상승으로 수수료 수익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지난해 순투자자산 유입모 증가율이 1.7% 정도로 전년도(+1.6%)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는 점이 이를 방증한다는 것.
또 순수입의 경우 운용자산보다 증가세가 뒤쳐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액티브(active)하게 운용되는 전통 자산보다 상장지수펀드(ETF) 등 패시브(passive) 자산이 높은 인기를 끌면서 운용사들의 수수료 폭이 축소된 영향이다.
일례로 액티브주식형의 기관수수료는 36bp 수준으로 변함이 없었지만, 개인수수료는 59bp로 3bp 줄었다. 패시브주식형 수수료도 기관은 6bp로 동일했지만 개인 수수료는 11bp로 역시 3bp 감소했다.
또 BCG는 자산운용 업계가 불확실한 경영 환경을 맞닥뜨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부 규제나 시장 유동성 등이 이러한 불확실성의 주 요소다.
규제 당국은 뮤추얼펀드 업체에 더 많은 자료를 요구하면서 펀드 자산을 더 투명하게 공개하라는 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유동성 문제도 있다. 금융위기 위기 이후 은행의 투자자산 규제가 강화되면서 회사채 보유 물량이 자산운용사보다 크게 줄어들었고, 결과적으로 은행들이 실질적인 시장 조성 기능을 할 수 없게 됐다.
BCG는 운용사들이 물량을 처분하기가 점점 어려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자산을 억지로 매도하지 않기 위해서는 더 낮은 가격에 매도 호가를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업계 경영 추세와 관련해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의 진출이 계속 활발한 상태이며, 아직도 성장잠재력은 충분하다는 판단이 형성되어 있다고 전했다. 다양하고 복잡한 지역 시장의 특징을 감안해야 하지만, 한 곳만 선택하라면 여전히 '중국'이 1순위로 나타났다.
한편, 앞서 글로벌 컨설팅사인 맥킨지의 경우 자산운용 업계의 비용 규모가 지난 2007년 이후 44% 증가한 가운데 또 한 차례 경기하강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업계의 대비가 취약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뉴스핌 Newspim] 김성수 기자 (sungs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