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의존 유통구조가 고가의약품 원인" vs "제조사 출고가 자체가 높아"
[뉴스핌=김지나 기자] 다국적 제약사 주요 일반의약품 국내 가격이 미국 영국 등 다른 나라에 비해 턱없이 비싸다는 지적에 대해 제약업계는 소규모 약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의약품 유통구조를 원인으로 꼽았다. 반면, 약사업계는 제약회사의 높은 출고가격을 원인으로 지적 ‘네탓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소비자연맹은 20일 다국적 제약사의 일반약 16개 제품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 11개 제품의 국내 판매가격이 해외(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독일) 평균가격보다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가격 차이가 큰 품목은 개비스콘 더블액션 현탁액(제조사 옥시레킷벤키저·가격차 149.5% ), 애드빌 정(화이자· 82.8%), 센트룸 실버정(화이자 ·51.8%), 드리클로(GSK·45.9%), 센트룸 정(화이자 ·35.0%), 오트리빈 멘톨 0.1% 분무제(노바티스·32.2%), 카네스텐 크림(바이엘·22.3%) 순이었다.
제약업체들은 우리나라 의약품 유통구조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일본 미국 등은 드러그스토어. 슈퍼마켓, 그리고 온라인에서도 일반약 판매가 허용돼 유통판로가 대형화 돼 있는 반면, 한국은 사실상 약국 판매에 의존하고 있어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국내 약국들끼리도 나름대로 가격경쟁이 있겠지만, 일반약 판매시장에 대형마트나 온라인이 가세한다면 가격경쟁이 매우 심해지기 때문에 자연적 내려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외국과 달리 국내는 의약품 판매 권한이 있는 약사들의 독점 판매 구조이기 때문에 고마진이 가능하고, 가격을 낮출 만큼 매입 물량이 많지 않아 같은 의약품이라도 해외에 비해 평균 가격이 높다는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의약품 유통은 제약사-도매상-소매상(병원/의원/약국)의 세단계로 이뤄진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제조회사가 공급하는 출하가격은 고정돼 있지만 도매상을 거치고 유통과정에서 붙는 마진, 그리고 약국 마진 등이 추가되는데 최종소비자가격은 약사가 결정하는 구조”라고 말했다. 이는 약국에 따라서도 소비자가격이 서로 차이가 나는 이유다.
제약업계는 한정된 유통망을 비싼 가격의 원인으로 꼽은 반면, 약사단체들은 “약국이 제약사와 도매상으로부터 공급받는 가격 자체가 높다”고 화살을 돌렸다.
대한약사회 관계자는 “제약회사 및 도매상이 약국에 출하하는 가격이 높은 것이지 판매장소를 약국으로만 한정해 가격이 높다는 것은 잘못된 주장”이라면서 “실제 외국과 가격 차이가 크다고 발표된 의약품의 약국 마진율은 센트룸실버정 (12.6%) 카네스텐크림(16.3%)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반의약품 판매채널 확대는 오남용 증가 등 국민건강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이미 입증되었으므로 절대 수용 불가하다”며 이전에 정부가 추진하려던 일반의약품 유통채널 확대 추진에 대한 기존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뉴스핌 Newspim] 김지나 기자 (fre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