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중국증시 ] 큰손 왕서방, 홍콩 주식 호시탐탐

기사입력 : 2014년08월12일 16:29

최종수정 : 2014년10월15일 14:43

후강퉁으로 중국인 투자 패턴 큰 변화 예상

[뉴스핌=조윤선 기자] 오는 10월 후강퉁(扈港通·상하이와 홍콩 거래소 주식연동거래) 시행을 앞두고 본토 A증시와 홍콩에 해외자금이 대거 유입되는 등 중국 자본시장이 들썩이는 가운데 중국인들의 주식 투자 판도도 크게 바뀔 것으로 전망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와 홍콩 당국은 오는 11일부터  후강퉁 시스템 테스트에 착수,  사실상 후강퉁 시행 막바지 준비 단계에 들어갔다. 이번 테스트는 9월 30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전해졌으며 당초 예상(10월 13일)보다 다소 늦어진 10월 20일께 정식 시작될 것으로 전해졌다.   

시행날짜가 점차 구체화되고 시스템 테스트에 돌입하는 등 후강퉁 시행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후강퉁이 중국 본토 투자자들에 미칠 영향에도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11일 중국 매일경제신문(每日經濟新聞)은 그동안 중국 본토인들의 홍콩증시 투자가 제한적이었다며,  후강퉁이 정식 시행되면 A증시와 홍콩 증시간 장벽이 낮아져  중국 본토 투자자들의 홍콩 증시 투자 문호가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우선 투자 범위가 대폭 확대되면서 중국 본토 투자자들은 현재 홍콩 증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종목중 하나인 텐센트(騰訊 00700.HK) 주식 매입이 가능해진다.

바이두(百度), 알리바바와 함께 중국 인터넷IT 분야의 대표주자로 불리는 텐센트 홍콩 주식 주가는 상장 초기 3홍콩달러(약 400원)에서 최고 646홍콩달러(약 8만6000원)까지 치솟으며 지난 10년새 200배 넘게 폭등하기도 했지만 각종 규제에 가로막혀 본토 개인투자자들에게는 '그림의 떡'이었다.

텐센트는 2004년 6월 16일 홍콩 증시에 상장, 현재(2014년 8월 11일 기준) 주가는 134홍콩달러(약 1만7800원)선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선전(深圳)의 한 사모펀드 전문가는 "본토 투자자들에게 후강퉁 시행으로 투자가능한 영역이 크게 확대됐다는 점이 가장 큰 수혜가 될 것"이라며 "기존에는 투자할 수 있는 영역이 상하이, 선전거래소의 2000여개 종목에 집중된 데다 기업공개(IPO)가 중단되기도 하면서 실제로 투자가능한 우량 상장사는 극히 제한적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후강퉁이 정식 시행되면 본토 투자자들은 후강퉁을 통해 홍콩 증시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절호의 기회를 맞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후강퉁 관련 규정에 따르면 본토 투자자들은 홍콩 항셍지수 대형주와 중형주에 포함된 주식은 물론, 상하이·홍콩 증시에 동시에 상장돼 있는 주식(A+H)에 투자할 수 있게된다.

현재 중국 본토 투자자가 투자할 수 있는 홍콩 주식은 264개 종목에 이른다. A+H주 외에 홍콩거래소에 단독 상장된 종목이나 항셍종합대형주와 중형주 중 가치있는 종목에 본토 투자자들의 투자가 집중될 전망이다.

특히 항셍종합대형주에는 홍콩 우량주들이 대거 포함되어 있어 중국 투자자들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는 아시아 최고 부호인 리카싱 회장의 청쿵실업(長江實業 00001.HK)과 청쿵인프라스트럭처(長江基建集團 01038.HK), 허치슨왐포아(00013.HK), 파워에셋홀딩스(电能实业 00006.HK) 등의 청쿵그룹 계열사 종목이 포진해 있다.

금융주 가운데서는 항셍은행(00011.HK), 홍콩거래소(00388.HK), HSBC홀딩스(00005.HK)등 종목도 투자가치가 높은 홍콩 주식으로 중국인 투자자들의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도 홍콩의 소비관련 종목, 카지노, 첨단과학기술 종목 등 더욱더 다양한 분야에 투자할 길이 열리면서 중국 본토 투자자들에게 보다 더 많은 투자기회가 제공될 전망이다.

소비종목 가운데서는 캉스푸홀딩스(康師傅控股 00322.HK), 저우다푸(周大福 01929.HK), SASA(사사)인터내셔널(莎莎國際 00178.HK), 다푸니인터내셔널(達芙妮國際 00210.HK), 카지노 종목 중에서는 갤럭시 엔터테인먼트(Galaxy Entertainment Group 銀河娛樂 00027.HK), 소시에다 드 데 호고스 데 마카오(Sociedade de Jogos de Macau 澳博控股 00880.HK), 엠지엠 차이나 홀딩스(MGM China Holdings 美高梅中國 02282.HK), 샌즈차이나(SANDS CHINA Ltd 金沙中國有限公司 01928.HK) 등 종목에 투자가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첨단과학기술 종목 가운데서는 중국 본토 투자자들에게 텐센트홀딩스의 인기가 단연 높을 것으로 전망되며, 레노보그룹(00992.HK), 킹소프트(Kingsoft 03888.HK) 등 종목도 중국 주식 투자자의 각광을 받을 것이라고 중국 매체는 전했다.

이처럼 투자 범위가 대폭 확대될 뿐만 아니라 홍콩 주식 투자 과정이 편리해지면서 본토 투자자들의 홍콩 증시 투자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에는 중국내 투자자가 홍콩 증시에 투자하려면 홍콩 증권사에 계좌 개설을 통해서 거래를 해야했는데 수속 과정이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등 투자에 적지않은 어려움이 따랐다.

특히 홍콩 종목에 투자하려면 반드시 위안화를 홍콩달러로 환전해 홍콩금융기관에 예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후강퉁이 시행되면 본토 투자자들은 홍콩에 별도로 계좌 개설을 할 필요없이 상하이증시의 위안화 보통주식계좌로 거래가 가능하며,홍콩달러로 환전하지 않고도 위안화로 바로 홍콩 주식을 매입할 수 있게된다.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거래와 결제 방법을 기본적으로 현지 규정에 따르도록 하면서, 후강퉁을 통해 홍콩 주식을 거래하는 중국 본토 투자자는 T(Trade)+0 제도를 적용받게 된다.

T+0 거래 방식은 주식을 매입한 당일 되팔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홍콩은 주식 매매시 T+0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반면 상하이증시는 주식을 매입한 다음날 되팔 수 있도록 하는 T+1 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쑹칭후이(宋淸輝) 중국 경제전문가는 "상하이와 홍콩증권거래소의 후강퉁 테스트가 9월 30일 마무리되고 10월 20일 정식 개통되면 기술적인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면서 "후강퉁 개통 후 해외투자자의 A주 투자 규모가 1조 위안(약 167조원)에 육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중국 언론에서는 대체로 후강퉁 개시일이 10월 13일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전문가들은 국경절 연휴가 끝난 이후 각각 월요일인  10월 13일과 20일, 27일 가운데 하루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재로서는 10월 20일 시행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리샤오자(李小加) 홍콩거래소 총재는 후강퉁 출범일에 관해 △100% 완벽히 준비가 되기 전에 출범하지 않는다 △중국 국경절 전후나 홍콩 또는 본토 법정휴일에 출범하는 것을 피한다 △출범일은 되도록 월요일로 정한다는 원칙을 제시했다.

후강퉁 정식 시행일을 월요일로 희망하는 이유는 주말에 테스트를 해 볼 시간적 여유가 있으며, 홍콩거래소 대부분의 중요 이슈가 월요일에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중국 매체는 전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