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둔화 실적악화우려, 증시도 장중 2000붕괴
[뉴스핌=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 부동산 시장이 뚜렷한 조정기에 접어들면서 경기가 갈수록 가파른 내리막세를 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부동산 경기가 주춤해지면서 일각에서는 올해 중국 GDP(국내총생산)성장률이 6.6%까지 후퇴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부동산 냉각과 함께 실물 경제상황이 계속 악화함에 따라 증권시장도 계속 무겁게 가라앉고 있다. 실물경제 둔화로 상장기업들의 영업 실적이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증시를 누르면서 상하이종합은 19일 오후 한때 2000포인트선이 무너지면서 1998포인트까지 밀렸다.

증시 전문가들은 경기 앞날에 대한 우려로 유동성 결핍이 심화하면서 이날 주가 하락의 골이 한층 깊어졌다고 진단했다. 장중 2000포인트 아래로 떨어졌던 상하이종합은 이날 마감장에서 2000포인트선(2005포인트)을 회복했으나 하락률은 1.04%에 달했다.
시장에 잇따라 전해지는 중국 경제지표 악화소식은 시장심리 위축을 가중시키고 경기전망에 대한 우려의 심도를 더해주고 있다. 특히 경제성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부동산 시장이 조정 국면에 들어서면서 경제 성장률이 예상보다 큰 폭 후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국책연구기관인 사회과학원이 2014년 예상 GDP성장률을 7.5%에서 7.4%로 낮춰 제시한데 이어 다른 많은 중국 경제 전문기관들도 당초보다 낮은 7%대 초반대의 수정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일부 증권기관들중에는 6% 중후반대의 대폭적인 성장 후퇴를 예측하는 곳도 나오고 있다.
국가통계국이 18일 발표한 4월 신축 주택가격 상승세도 전월에 이어 크게 꺽였다. 최초 3,4선 지방 도시에서 시작된 주택 가격 하락과 거래량 감소 등의 부동산 경기둔화 움직임은 1, 2선 도시로 점점 확산되는 상황이다. 4월 수도 베이징의 기존 주택가격도 전월비 0.2% 떨어졌다. 2년래 최대 하락폭이다.
지난 1~4월 중국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업 개발 투자 증가속도와 신규착공 면적, 거래량 자금유입 등 주요 지표가 일제히 뚜렷한 하락세를 나타냈다. 부동산 업계 전문가들은 신규분양이든 기존 주택이든 중국 부동산 시장이 현재 추세적인 조정 국면에 처해있다고 밝혔다.
텅쉰 차이징은 신은만국증권 부동산 애널리스트의 말을 인용, 2014년 부동산개발 투자 증가속도가 14%로 후퇴하는 상황에서 정부의 시장 개입이 나오지 않을 경우 올해 중국 경제 성장률은 6.6%로 급강하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이 만약 올해 7.2%이상의 성장률을 달성하려면 기초 인프라 건설 등 적극적인 시장 부양에 나서야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부동산 경기 후퇴 조정 현상은 중국 경제 하강을 가속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중국 부동산 시장은 현재 주택 판매(거래)와 투자, 신규착공, 토지거래 등에 있어 모두 확연한 경기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많은 부동산 전문가들은 현재 통화당국의 신용대출 정책도 긴축쪽으로 운용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부동산 시장 앞날이 매우 불확실한 상황에 처해있다고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시장에는 지금 중국 부동산 시장이 큰 추세적 조정기에 접어들었다는데 대해 이의를 다는 사람이 별로 없다. 부동산 침체가 중국경제 후퇴를 가속화시키는 것은 물론 심지어 경착륙을 촉발할 것이라는 위기감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통계국 70개도시 4월 주택가격 조사에서도 신축주택 판매가격 상승폭은 전월 대비와 전년동기 대비로 모두 하락세를 나타냈다. 전월에 비해 주택 가격이 상승한 도시 수는 2013년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전월비 가격상승세가 멈춘 도시만해도 26개도시에 달했다.
[뉴스핌 Newspim]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chk@newspim.com)
부동산 냉각과 함께 실물 경제상황이 계속 악화함에 따라 증권시장도 계속 무겁게 가라앉고 있다. 실물경제 둔화로 상장기업들의 영업 실적이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증시를 누르면서 상하이종합은 19일 오후 한때 2000포인트선이 무너지면서 1998포인트까지 밀렸다.

증시 전문가들은 경기 앞날에 대한 우려로 유동성 결핍이 심화하면서 이날 주가 하락의 골이 한층 깊어졌다고 진단했다. 장중 2000포인트 아래로 떨어졌던 상하이종합은 이날 마감장에서 2000포인트선(2005포인트)을 회복했으나 하락률은 1.04%에 달했다.
시장에 잇따라 전해지는 중국 경제지표 악화소식은 시장심리 위축을 가중시키고 경기전망에 대한 우려의 심도를 더해주고 있다. 특히 경제성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부동산 시장이 조정 국면에 들어서면서 경제 성장률이 예상보다 큰 폭 후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국책연구기관인 사회과학원이 2014년 예상 GDP성장률을 7.5%에서 7.4%로 낮춰 제시한데 이어 다른 많은 중국 경제 전문기관들도 당초보다 낮은 7%대 초반대의 수정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일부 증권기관들중에는 6% 중후반대의 대폭적인 성장 후퇴를 예측하는 곳도 나오고 있다.
국가통계국이 18일 발표한 4월 신축 주택가격 상승세도 전월에 이어 크게 꺽였다. 최초 3,4선 지방 도시에서 시작된 주택 가격 하락과 거래량 감소 등의 부동산 경기둔화 움직임은 1, 2선 도시로 점점 확산되는 상황이다. 4월 수도 베이징의 기존 주택가격도 전월비 0.2% 떨어졌다. 2년래 최대 하락폭이다.
지난 1~4월 중국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업 개발 투자 증가속도와 신규착공 면적, 거래량 자금유입 등 주요 지표가 일제히 뚜렷한 하락세를 나타냈다. 부동산 업계 전문가들은 신규분양이든 기존 주택이든 중국 부동산 시장이 현재 추세적인 조정 국면에 처해있다고 밝혔다.
텅쉰 차이징은 신은만국증권 부동산 애널리스트의 말을 인용, 2014년 부동산개발 투자 증가속도가 14%로 후퇴하는 상황에서 정부의 시장 개입이 나오지 않을 경우 올해 중국 경제 성장률은 6.6%로 급강하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이 만약 올해 7.2%이상의 성장률을 달성하려면 기초 인프라 건설 등 적극적인 시장 부양에 나서야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부동산 경기 후퇴 조정 현상은 중국 경제 하강을 가속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중국 부동산 시장은 현재 주택 판매(거래)와 투자, 신규착공, 토지거래 등에 있어 모두 확연한 경기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많은 부동산 전문가들은 현재 통화당국의 신용대출 정책도 긴축쪽으로 운용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부동산 시장 앞날이 매우 불확실한 상황에 처해있다고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시장에는 지금 중국 부동산 시장이 큰 추세적 조정기에 접어들었다는데 대해 이의를 다는 사람이 별로 없다. 부동산 침체가 중국경제 후퇴를 가속화시키는 것은 물론 심지어 경착륙을 촉발할 것이라는 위기감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통계국 70개도시 4월 주택가격 조사에서도 신축주택 판매가격 상승폭은 전월 대비와 전년동기 대비로 모두 하락세를 나타냈다. 전월에 비해 주택 가격이 상승한 도시 수는 2013년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전월비 가격상승세가 멈춘 도시만해도 26개도시에 달했다.
[뉴스핌 Newspim]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