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드라마가 지역경제 부양..'브레이킹 배드'가 남긴 것

기사입력 : 2013년10월02일 14:24

최종수정 : 2013년10월02일 14:24

에미상 수상 AMC 드라마 '브레이킹 배드'로 앨버커키 경제에 '활력'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대대적인 인기를 끈 드라마는 시청자의 마음에 그만큼의 여운을 남긴다. 그리고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도 무언가 기록을 남기게 마련.

에미상 수상에 빛나는 케이블 채널 AMC의 '브레이킹 배드(Breaking Bad)' 역시 그랬다. 지난 2007년 시작, 시즌 5로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대장정의 막을 내린 이 드라마는 수많은 팬과 이슈를 만들었다.

드라마는 폐암 말기 판정을 받은 화학 교사 월터 화이트(브라이언 크랜스턴 분)가 가난한 현실에 회의를 느껴 고품질 마약을 직접 만들어 파는 사업에 뛰어들면서 벌어지는 일들을 다뤘다. 임신한 아내와 뇌성마비 아들을 두고 떠나야 하는 그는 자신이 죽고 난 뒤 가족들을 어떻게 해야할 지에 몰두하게 되고, 그것이 마약 사업으로 이어진다. 

◇ 마약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에미상을 수상한 드라마 `브레이킹 배드`.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막을 내렸다.(출처=타임)
'마약'이라는 민감한 이슈를 다룬 것이 화제 중의 화제. 

주인공 화이트는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을 직접 만들어 판다. 우리가 필로폰(Philopon) 는 히로뽕이라고 부르고 있는 그 마약이다. 줄여서 간단히 메스(Meth)라고 부른다. 드라마 속에 묘사된 마약의 모습이나 흡입 장면 등이 매우 현실적이었다는 평가다.

법 망이 좁혀들고 다른 마약업자들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화이트는 현실감각조차 잃게 된다. 매일 그는 자신이 얼결에 둘러댔던 가명 이젠베르그(Heisenberg)라는 '또다른 자아'로 살아가게 된다.

이 메스암페타민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분석은 종종 나온다. RAND 코퍼레이션이 2005년 낸 '미국에서의 메스암페타민 사용이 경제적으로 치러야 하는 비용' 보고서에 따르면 그 해에만 미국에서 234억달러가 소요됐다. 마약중독, 이를 치료하는 비용, 조기사망 등 각각의 비용을 계산해 합한 것이다.

영화 '아메리칸 어딕트(American Addict)'의 선임 프로듀서였던 그레고리 A. 스미스 M.D.는 "마약을 복용하는데 따른 사회적 손실은 수십억달러에 달한다"면서 "마약 사용자들은 한 가지 이상의 마약에 빠지게 되고, 특히 메스암페타민 사용은 종종 다른 약물 중독으로 이어지게 된다"고 밝혔다.

미 법무부 산하 NDIC(National Drug Intelligence Center)에 따르면 미국에서 약물과 관련된 범죄로 인해 소모되는 비용은 연간 610억달러를 넘는 것으로 추정되며, 미 마약단속국(DEA)이 전국적으로 퍼져있는 1만 곳 이상의 메스암페타민을 만드는 곳을 없애는데 200만~300만달러의 정부 돈을 써야 한다.

◇ 주인공은 마약 장사로 얼마나 벌었을까

일리노이주립대 범죄학 교수인 랠프 와이샤이트는 CNN머니와의 인터뷰에서 "드라마는 매우 사실적인 부분이 많았다"면서 "분명히 관련 사업자들에게 많은 자문을 얻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AMC의 드라마 `브레이킹 배드`의 한 장면.(출처=CNN머니)
주인공 화이트는 위험수당(Hazard Pay)을 포함, 그램(g)당 약 60달러를 받고 마약을 판매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와이샤이트 교수는 "마약 판매 가격은 역적으로, 또 어느 시기에 파느냐, 공급 물량이 얼마나 되느냐 등에 따라 모두 다르다"면서 "대개 그램당 50~150달러 선에서 판매되고 있는데 휘발유 가격처럼 안정적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월터가 팔았다는 양과 이 정도 가격대를 감안할 때 8000만달러는 벌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 드라마 인기로 지역경제 '번성'

'브레이킹 배드' 이야기가 펼쳐지는 지역은 미국 남서부 뉴멕시코주의 앨버커키란 작은 도시. 뉴멕시코주 자체가 그렇게 대중적이지도 않은데다 산타페가 주도(州都)이자 워낙 관광지로 유명한 도시이기 때문에 앨버커키는 명성이 높은 도시는 아니었다.

그러나 이 드라마로 인해 이 지역 경제가 허리를 펴고 명성이 드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드라마 팬들이 이 곳으로 몰려들면서부터다.

뉴욕타임스(NYT)는 9월 첫 번째 주에만 북부 프랑스와 케이만 군도 등 각지에서 모여든 팬이 117명에 달했다. 이들이 이 곳에 있는 레스토랑 트위스터스(Twisters)의 '브레이킹 배드' 게스트북에 사인한 것만 기반으로 한 수치다.

NYT는 이 드라마만으로 직접적인 고용효과만 200명에 달한다고 전했다. 드라마가 촬영된 앨버커키 스튜디오뿐 아니라 인근 중고용품점, 리무진 업체, 호텔 등이 활발하게 돌아갔고 거주민들은 드라마의 엑스트라로 고용되기도 했다. 집이나 사무실을 촬영에 빌려주면서 돈을 번 사람들도 있다.

드라마 `브레이킹 배드`에 나오는 마약을 연상시키는 `블루 스카이 도넛`(출처=레벨 도넛)
레벨 도넛이란 곳은 마약처럼 생긴 설탕으로 만든 푸른색 아이싱을 올린 도넛 '블루 스카이 도넛'을 판다. 

원래는 '브레이킹 배드'에 나오는 배우 아론 폴이 이 곳을 방문했을 때 기념해서 만든 것이었는데, 폴이 방문했을 때 찍은 사진을 페이스북에 포스팅한 뒤 불티나게 팔리면서 고정 상품이 됐다. 드라마가 방영됐던 일요일이면 하루에 40상자씩 팔린다는 전언.  

특히 이 시리즈의 제작자이자 엑스 파일(X-Files)의 제작과 각본을 맡았던 것으로 잘 알려진 빈스 길리건는 늘 드라마를 제작하면서 이렇게 지역 경제를 번성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NYT는 특히 영화에 비해 드라마 제작이 지역 경제를 부양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킨 편이라면서 앨버커키에선 '브레이킹 배드'의 파생(spin-off) 작품으로 이 드라마에 나왔던 코미디 캐릭터 변호사 사울 굿맨을 주인공으로 하는 '베터 사울 굿맨'의 제작을 유치하는데 기대를 걸고 있다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소고기 콕 집은 트럼프...축산농 반발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다음 달 1일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 상호관세' 부과를 앞둔 상황에서 한미 간 막판 협상에 돌입했다. 이번 협상에서 미국은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제한 철폐를 강하게 요구하며 한국을 압박하고 있다. 정부는 미국 측의 압박으로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허용 등 농축산물 비관세장벽 카드를 협상테이블에 올리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다만 농민단체의 반발과 국민 신뢰가 흔들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제2의 광우병 사태'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 美, 30개월령 이상 소고기 압박…韓, 농산물 카드 검토 28일 정부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호주가 미국산 소고기를 개방했다는 점을 연일 언급하며 한국에도 같은 수준의 개방을 요구하고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호주가 미국산 소고기를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며 "이제 우리는 호주에 (미국산) 소고기를 많이 팔 것"이라고 게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7.25 mj72284@newspim.com 이어 "우리의 훌륭한 소고기를 거부하는 다른 나라들도 (개방) 요구를 받은 상태"라며 "이 좋은 흐름을 이어가자. 지금은 미국의 황금기"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고기 개방을 거부하는 국가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관세협상을 앞둔 한국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브룩 롤린스 미국 농무부 장관 또한 트루스소셜을 통해 "지난 20년간 비과학적인 무역 장벽 때문에 우리 소고기가 호주 소비자들에게 판매되지 못했다는 것은 터무니없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미국 농축산업자들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건강한 소고기를 생산하고 있다"며 "USTR은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타파하고 미국 국민이 주요 시장에 배제되지 않도록 미국의 무역 파트너들과 계속 협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이 협상을 진행하는 국가를 대상으로 연일 30개월 이상 소고기 개방을 압박하면서, 한국도 소고기 카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릴지 여부를 검토 중이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지난 25일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협상 품목 아래 농산물도 포함돼 있다"며 "농업이나 디지털 분야는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간 협상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당초 정부는 한미 관세협상에서 농업분야 보호를 우선으로 두고,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개방 등 비관세 장벽을 해소할 카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리지 않기로 방침을 정한 바 있다. 한 대형마트의 미국산 쇠고기 진열대 모습 <뉴스핌 DB> 그러나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미 고위급 '2+2 통상협의'가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의 일정 사유로 전날 취소되면서 미국이 한국의 협상 태도에 불편을 느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앞서 미국은 우리나라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오는 8월 1일부터 적용되며, 한미 양국은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에 대해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쇠고기 수입 허용 ▲쌀 시장 추가 개방 ▲유전자변형(LMO) 감자·사과 검역 완화 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 농민단체 "관세협상에 농업 희생양 삼지 말아야"…대정부 투쟁 돌입 정부로서는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우선 한국은 현재도 미국산 소고기의 최대 수입국이다.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은 22억1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전체 수입액(38억4700만달러) 대비 57.4%를 차지한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액은 지난 2004년 1억300만달러에서 2012년 5억2200만달러, 2016년 10억3500만달러로 20억달러를 넘기다 2022년에는 26억2400만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까지의 연평균 증가율은 17.5%다. 이재명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우리나라는 이른바 '광우병 파동' 이후 30개월령 미만 미국산 소고기만 수입하고 있다. 지난 2008년 한미 쇠고기 협상이 타결됐고, 우리 정부가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까지 수입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이에 반대하는 촛불집회가 전국적으로 열렸다. 당시 이명박 정부 지지율은 취임 2개월 만에 20%대로 폭락했고, 결국 정부는 미국과 소고기 협상을 일부 재협상했다. 다시 말해 현재 국내 소비자들은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섭취에 대해 안전하지 못하다는 인식이 기반에 깔려 있다. 또 우리나라 연간 쌀 저율관세할당(TRQ) 물량은 40만8700톤으로, 미국 물량이 이중 13만2304톤(32%)을 차지한다. 쌀 개방은 WTO 규약에 묶여 있기 때문에 한미 양자 간 협상체계가 불가능하다. 다만 미국이 소고기 등 농산물 개방을 미루는 국가에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는 점을 연일 강조하면서 국익 측면에서 조선·철강·반도체 등 산업을 보호하고 농산물을 희생해야 하지 않겠냐는 의견도 나온다. 농민단체는 정부의 기류에 대거 반발하고 있다. 한국농축산연합회,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 축산관련단체협의회, 농민의길 등 농축산업 단체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대정부 투쟁에 나선다. 이들 단체는 "미국산 농축산물은 이미 한미 FTA로 전면개방을 한 마당에 관세 추가 인하 및 비관세장벽까지 철폐된다면 농민 생존권 말살과 함께 국내 농업생산 기반 붕괴는 시간문제일 것"이라며 강하게 규탄한다. 이어 "미국산 소고기에 대한 수입연령 제한과 사과에 대한 식물검역은 국내법과 WTO 등 국제협정 등에 따른 정당한 조치이며, 국민건강과 직결된 것으로 절대 포기해선 안 되는 문제"라며 "농축산물을 협상대상에서 제외해 식량주권과 국민건강권을 반드시 사수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단체 관계자는 "한미 관세협상 추이를 예의주시하면서 요구가 묵살될 경우 대대적인 추가 농민항쟁을 벌이겠다"고 예고했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쌀값정상화법 공포 촉구 결의대회에서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3.04.03 leehs@newspim.com plum@newspim.com 2025-07-28 12:49
사진
SPC "8시간 넘는 야간근무 없앤다"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SPC그룹이 27일 대표이사 협의체인 'SPC 커미티'를 열고 장시간 야간 근로를 폐지하고, 앞으로 생산직의 야근 시간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SPC그룹은 야간 생산이 불가피한 일부 필수 품목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야간 가동 자체를 줄여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룹 관계자는 "8시간 초과 야근 폐지를 위해 △인력 확충 △생산 품목 및 생산량 조정 △라인 재편 등 전반적 생산 구조를 완전히 바꿀 계획이다. 각 (계열)사별 실행 방안을 마련해 10월1일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흥 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주간 근무 시간 역시 단계적으로 단축해 장시간 노동에 따른 피로 누적과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 근무체계 전환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조와 협의를 병행하고, 내부 교육 및 매뉴얼 정비 작업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SPC는 "생산 현장의 장시간 야간 근로에 대한 지적과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여 근무 형태를 비롯한 생산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근로자 안전이 최우선시되는 일터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 개선하고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지난 25일 이재명 대통령이 SPC삼립 시화공장을 직접 찾아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며 야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 강도를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SPC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여성 노동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수십 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현장에서 노동자가 죽고 있다"며 "같은 방식의 사고가 반복되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돈과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구조라면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며 "이번을 계기로 산재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용범 정책실장, 문진영 사회수석 등 청와대 주요 인사들이 배석했으며, SPC 측에선 허영인 회장과 김범수 SPC삼립 대표, 김지형 컴플라이언스위원장, 김희성 안전보건총괄책임자, 김인혁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CJ푸드빌, 크라운제과 등 타 식품업체의 현장 책임자들도 함께 자리를 했다. wonjc6@newspim.com 2025-07-27 13:2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