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5년가량 이어진 미국의 비전통적인 통화정책이 걸림돌 없이 정상화될 수 있을까.
3차에 걸친 자산 매입의 속도를 늦춰 궁극적으로 완전히 종료하고, 위험수위라는 우려를 모으는 대차대조표를 축소하는 동시에 실물경기 회복을 도모한다는 것이 연방준비제도(Fed)의 출구전략이다.
연준의 계산대로라면 올해 하반기부터 매월 850억달러 규모의 자산 매입이 축소되기 시작해 내년 중반 이를 완전히 종료될 예정이다.
하지만 말 그대로 비전통적인 통화정책이 생명줄이나 다름없는 금융시장에서 예기치 못했던 부작용이나 혼란 없이 안전키를 제거하는 일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번지고 있다.
국채 수익률이 가파르게 치솟는 등 이미 혼란이 가시화된 가운데 투자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모기지 금리 상승과 이에 따른 파장이다.
연준이 실물경기 회복의 가장 핵심적인 전제 조건으로 꼽은 것이 고용과 주택시장의 회복이다. 미국 경제의 70%를 차지하는 소비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고용 향상과 주택시장 반등이 필수적이라는 얘기다.
이를 감안할 때 연준의 출구전략 진행에 따른 모기지 금리 상승이 예사롭지 않다는 지적이다. 페니메이의 30년 만기 모기지 금리가 최근 이틀 사이 38bp 치솟으며 19개월래 최고치인 3.1%를 기록했다.
프레디맥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모기지 대출의 평균 금리는 3.98%를 기록해 지난 5월 초 3.35%에서 가파르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전문가는 모기지 금리가 4%를 넘어설 때 주택시장의 회복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이와 관련, 벤 버냉키 의장은 과거에 비해 주택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전망이 한층 밝아졌기 때문에 금리 상승에 따른 타격이 미미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핌코의 빌 그로스 최고투자책임자는 “버냉키 의장이 모기지 금리 상승에 따른 영향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기 전망 개선과 같은 바람직한 요인에 따른 금리 상승은 경제 펀더멘털에 호재에 해당하지만 현재 금리 상승은 이 같은 논리와 다른 것”이라며 “버냉키 의장이 주택시장과 실물경기 전반에 대한 금리 상승 리스크를 정확히 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시에떼 제네랄의 태 박 머니매니저는 “연준은 아기에게 아주 부드러운 목소리로 떠나겠다는 얘기를 하는 엄마와 같다”고 지적했다.
연말로 가면서 경제성장률이 높아질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지만 시장금리가 가파른 상승을 지속하면서 기업과 가계를 강타할 경우 실제 성장률이 기대치에 못 미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미국 벤치마크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버냉키 의장이 자산 매입 축소 의사를 첫 언급한 이후 6주간 1.60% 선에서 2.40%선까지 가파르게 치솟았다.
블룸버그통신이 조사한 이코노미스트의 매크로 전망은 연준의 예상보다 낮은 상황이다.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미국 경제가 1.9%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내년 성장률은 2.7%로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모기지 금리 상승과 회사채 이자율 상승 등으로 민간 투자 및 지출이 꺾일 경우 성장률이 예상치에 못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펜실베니아대학 와튼스쿨의 제러미 시겔 교수는 "연준은 여전히 경제 지표에 크게 의존하는 상황"이라며 "출구전략을 시행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혔지만 실물경기가 충분히 회복되지 않을 경우 계획을 늦출 수도 있고, 출구에 나선 이후 중단하거나 부양책을 다시 시행할 여지가 없지 않다"고 판단했다.
바클레이스의 마이클 가펜 이코노미스트는 “비전통적인 통화정책이 장기간 이어진 만큼 금융시장도 통화정책의 정상화에 적응하려면 수년간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