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과 거래 못하는 중소기업들이 더 문제"
[뉴스핌=정탁윤 기자]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동반성장 정책중 시급히 도입해야 할 제도중 하나로 '오픈 소싱' 제도가 주목받고 있다.
'오픈 소싱(open-sourcing)' 이란 원청업체가 부품을 여러 곳의 납품업체에서 구입하고, 납품업체도 원청업체 한 곳에만 매이지 않고 여러 곳에 자유롭게 납품하는 것을 뜻한다.
현재 삼성과 LG, 현대차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은 특정 협력업체와만 거래를 하고 있다.
이들 대기업들과 직거래를 하는 1차협력업체들은 또 다른 2, 3차 협력업체와 거래하는 방식이다. 그러다 보니 2, 3차 협력업체들은 1차 협력업체 및 원청업체인 대기업에 의존하게 될 수 밖에 없는 것.
그나마 이들 대기업과 거래를 하는 업체들은 사정이 낫지만 아예 거래기회 조차 갖지 못하는 중소업체들이 문제라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의 동반성장정책 추진 방향도 이들 대기업과 거래관계가 없는 중소기업들에 대한 지원으로 모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재계 한 고위 임원은 "삼성이나 현대차와 거래하는 기업들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며 "대기업에 제품을 납품하고 싶어도 못하고 있는 나머지 수 많은 중소업체들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들 중소기업들에 대한 해외시장 개척이나 기술지원 등의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정부가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삼성전자 등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오픈 소싱'이 일부 도입되고 있기는 하나 아직은 미약한 수준. 기존 거래하던 업체와 거래하는 것이 관행처럼 굳어져 쉽게 바뀔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는 지적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뛰어난 기술력과 역량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비즈니스 파트너로 육성하기 위한 '오픈 소싱' 제도의 하나로, '혁기회'를 운영하고 있다.
'혁기회'에 소속된 중소기업들은 기술 개발 지원도 받을 수 있는 것은 물론,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한 기업들은 삼성전자와 협력을 통해 신제품 개발에도 참여할 수도 있다.
이같은 과정을 통해 삼성전자와 '혁기회' 소속 중소기업들이 제품과 기술 개발을 통해 말 그대로의 '동반성장'을 이루는 성과를 거두게 된다.
중소기업체 한 관계자는 "오픈 소싱은 바람직하긴 하지만 아직 피부로 느낄만한 변화는 없다"면서 "현금결제 강화나 기술보호 등도 함께 논의됐으면 한다"고 했다. <끝>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정탁윤 기자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