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홍승훈기자] 신세계의 100% 무상증자 추진이 향후 주식가격 부담해소 등으로 다양한 투자자들의 접근이 가능하게 됐다는 분석이다. 증권사들도 일제히 긍정적인 시그널로 해석했다.
지난 28일 신세계는 내년 1월 중순 이사회 결의를 거쳐 2월 중으로 100% 무상증자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통주식수 확대를 통한 주주가치 제고의 일환이다.
이에 대해 29일 하나대투증권 송선재 연구원은 "주식수 증가를 통한 거래 활성화에 일부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주주가치 제고 노력에 대한 긍정적 시그널로 해석될 수 있다"며 목표가 64만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신세계의 지난 9월 이후 일 평균 거래량은 4만 5000여주로 이는 전체 주식의 0.2% 수준에 불과했다. 일 평균 거래대금도 262억원으로 시가총액의 0.2% 수준.
대주주일가 지분은 27%에 불과하나 외국인 주주의 지분율이 56%에 달하는 등 상당수의 주식들을 장기 투자성향의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어 유통 주식수가 부족했던 게 사실이다.
송 연구원은 "무상증자 후에도 장기 투자성향 투자자들로부터의 물량출회가 없을 것으로 예상, 유통 가능물량의 증가를 통한 거래대금 급증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주식수 증가와 권리락 후의 단순 주식가격부담 해소 등으로 인해 다양한 투자자들의 접근이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번 무증이 자산 또는 자기자본의 증가가 없이 자기자본 내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전환하는 것이란 점에서 기업 펀더멘털과는 무관하다"며 "하지만 그 동안 쌓인 잉여금을 주주들에게 형식적으로나마 돌려준다는 측면과 회사가 주주가치 제고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풀이했다.
우리투자증권도 이날 신세계에 대해 "100% 무상증자 결정은 주가에 긍정적"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75만원을 제시했다.
박진 연구원은 "이번 무증 결정은 최근 수년간 성장 정체에 따라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하지 못했던 점이 고려된 것 같다"며 "다만 이는 단기적 주가 이벤트로 평가될 것으로 보이며, 중장기적으로 펀더멘털 개선 본격화 시점에서는 상승 작용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 뉴스핌 Zero쿠폰 탄생! 명품증권방송 최저가 + 주식매매수수료 무료”
[뉴스핌 Newspim]홍승훈 기자 (deerbear@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