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00여명 수급권자 맞춤형 사례관리 지원...건강관리·자립 및 70억원 절감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의료급여 사례관리를 통해 수급권자의 자립을 지원하고 진료비 절감 효과까지 거두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전북자치도는 올해 의료급여 수급권자 9418명을 대상으로 맞춤형 사례관리를 추진한 결과, 지난달 말 기준 진료비가 전년 동기 190억7600만 원에서 120억3800만 원으로 70억 원 감소했다.
진료비 증가 추세 속에서도 예산 효율화와 함께 수급권자의 건강관리와 자립 지원을 동시에 이뤄냈다.
![]() |
| 전북자치도청 전경[사진=뉴스핌DB] 2025.11.24 lbs0964@newspim.com |
도내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올해 기준 총 8만1609명이며, 연간 진료비는 약 6088억 원에 달한다.
의료급여 사례관리는 2006년 도입된 제도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진료비 부담을 완화하고 수급권자의 합리적인 의료서비스 이용을 유도하는 핵심 정책이다.
이 제도는 신규 수급자, 다빈도 외래이용자, 장기입원자 등 유형별로 관리 대상을 세분화해 개인별 맞춤형 상담과 지도를 시행한다.
현재 도와 14개 시군에 배치된 의료급여관리사 44명이 수급권자의 건강관리와 맞춤형 복지서비스 연계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신규 수급자 7381명에게는 적정 의료서비스 이용을 안내하며 건강관리를 돕고, 다빈도 외래이용자 1252명은 질병 대비 중복처방 등 비합리적인 의료서비스 이용 대상자로 선택의료기관을 지정하는 제재를 통해 병원 이용률 감소를 유도하고 있다.
선택의료기관 제도는 단일 질병으로 여러 의료급여기관을 이용하거나 중복투약으로 건강상 위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수급권자에게 특정 의료기관을 지정해 이용하도록 하는 제도다.
연중 관리 대상자 210명은 다양한 복지문제를 안고 있어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상담을 진행해 복합적인 욕구에 맞는 지원을 제공한다. 장기입원자 575명은 외래전환·퇴원유도 및 시설입소 등의 자원을 연결하고 있다.
특히 장기입원자 중 퇴원한 대상자 가운데 혼자서 생활이 가능한 157명에게 '재가 의료급여 사업'을 연계해 돌봄, 생활지원 등 자립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지역사회로의 건강한 복귀를 이끌어냈다.
재가 의료급여 사업은 입원 필요성이 낮음에도 병원에 장기 입원 중인 수급권자를 대상으로 거주지에서의 케어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019년 전주시 시범사업을 거쳐 2024년 7월부터 도내 14개 시군 전역으로 확대됐으며, 올해는 신규 대상자 157명을 지원하고 있다.
lbs096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