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생 절반 "韓 살고 싶다"는데…60% 이상 취업 희망지 "서울"
문턱 낮은 비수도권서 어학연수 받고 "학위는 서울에서" 경향도
"부처·지자체, 유학생 정책 목표 명확히 하고 전략 수립해야"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외국인 유학생 유치가 지방대 생존 수단으로 떠올랐지만 지방대 어학 프로그램을 서울 소재 대학 편입 발판으로 삼거나, 취업은 서울에서 하려는 경향이 짙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순 유치를 넘어 지역 정주까지 고려한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20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에 따르면, KEDI가 지난해 10월 외국인 유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희망 취업 지역을 조사한 결과 196명(62.0%)이 서울에서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 |
| 외국인 유학생 출신 대학에 따른 희망 취업 지역. [사진=한국교육개발원] |
응답자의 약 45%는 대학 졸업 후 한국 체류 계획을 표명했고, 이들 중 76%가 취업을 통한 체류 계획을 짜고 있는 점까지 고려하면 유학한 대학 소재지와 무관하게 '일은 서울에서 하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다는 방증이다. 실제로 한국 취업 계획을 밝힌 응답자 중 약 60% 이상은 졸업한 대학 소재지와 관계없이 서울을 취업 희망 지역으로 꼽았다.
애초에 비수도권 대학을 한국에 들어오는 발판으로 삼고 실제 학업은 서울에서 이어가려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비교적 문턱이 낮은 비수도권 대학 어학 프로그램을 통해 어학연수를 하고 학위는 수도권에서 받으려 한다는 것이다.
학위과정 유학생 중 비수도권의 비중은 감소한 반면 비학위과정 유학생 중 비수도권의 비중은 2014년 39.1%에서 2024년 45.0%로 증가했다. 지역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수가 늘어나도 이들이 해당 대학 및 지역에 머무는 기간이 짧다는 의미로, 지역정주 측면에서 부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최정윤 KEDI 선임연구위원은 "외국인 유학생 수는 학위과정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했으나 비수도권에서의 안정적인 유학생 유치는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며 "최근 유학생 유치 확대의 성과에도 유학생 정책의 전략목표인 특정 산업분야 인력 확보와 지역정주 유도는 달성이 쉽지 않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구감소 지역에 유학생을 정착시키고, 더 나아가 뿌리산업과 첨단·신성장 분야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면 단순히 유학생 수 증가에 조급하게 매달려서는 안 된다"며 "유치-학업-취업-정주의 단계별로 세밀한 전략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지자체)의 노력이 요구된다.
최 선임연구위원은 "중앙의 각 부처와 지자체, 대학 간 유학생 정책목표 조율과 명확한 실행목표 수립 및 이를 반영한 유학생 유치 및 지원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며 "지역의 경제 및 산업의 중장기 발전 계획과 긴밀하게 연계한 인력수급의 틀 내에서 지자체의 유학생 정책 전략을 고도화하고 실효성 높은 실행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jane9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