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표·환급 안내 등 공공·금융기관 문서 PASS에서 즉시 확인
3800만 패스 이용자 대상…수백종 전자문서로 확대 예정
푸시 기반 알림·미열람 재안내·UI 개선 등 사용자 편의 강화
패스 인증서 활용한 전자서명 지원…보안성과 신뢰성 확보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KT·LG유플러스(이하 통신3사)가 모바일 인증 플랫폼 '패스(PASS)' 앱을 기반으로 공공·금융기관의 주요 고지 문서를 제공하는 '패스 전자고지 서비스'를 공동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용자는 본인 명의 스마트폰으로 다양한 고지 문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향후 수백종 이상의 종이 문서가 전자화될 예정이다.
패스 앱은 국내 약 3800만 명이 사용하는 대표 본인확인·인증 플랫폼으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인정을 받은 패스 인증서를 기반으로 안전한 전자서명을 제공한다. 통신3사는 이번 고지 서비스가 패스 앱을 '국민 일상 속 필수 플랫폼'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 |
| 사진은 통신3사가 출시한 '패스 전자고지 서비스'. [사진=SK텔레콤] |
서비스 편의성도 강화됐다. 앱 메인 화면에 전자고지 메뉴를 신설해 접근성을 높였으며, 문서 목록 화면에서 열람 기한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미열람 사용자에게 추가 알림을 제공해 주요 안내가 누락되지 않도록 한 점도 특징이다.
패스는 본인확인용 알림을 상시 활성화한 이용자가 많아 고지 열람률을 높일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실제로 패스 기반 '국민비서' 서비스에서는 필수 고지 문서 열람률이 약 55%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T는 이번 서비스 출시와 함께 국민건강보험공단 전자 문서에 패스 전자고지를 우선 적용했다. 이용자는 건강검진표, 본인부담금 환급 안내, 대사증후군 위험군 안내 등을 패스 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최초 1회 패스 지갑 가입 및 공인전자주소 등록 약관에 동의하면 이후 간단한 본인인증만으로 문서를 열람할 수 있다.
통신3사는 기존 문자 기반 공인알림문자 서비스와 패스 전자고지를 병행해 '투트랙 발송 체계'를 구축했다. 기관은 상황에 따라 문자 또는 앱 기반 고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병행 발송을 통해 고지 도달률과 열람률을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KT는 패스 전자고지 서비스 출시를 기념해 PASS머니 지급 등 이용자 대상 프로모션도 시행한다.
김지형 SK텔레콤 디지털플랫폼사업본부장은 "이번 PASS 전자고지 출시를 통해 PASS가 공공 디지털 행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공인알림문자와 PASS 전자고지를 연계한 전자고지 서비스를 통해 공공기관이 국민과 더 빠르고 안전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