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경찰 보이스피싱 예방 대응 역량 강화 계획 시행
신고 접수 단계부터 사건 종결까지 단계별 체크리스트 제작
경찰청·시도청·경찰서 단위 교육팀 구성해 지속 교육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찰이 보이스피싱 대응에 있어 신고 접수부터 종결까지 전 과정에서 현장 경찰의 대응 역량 강화에 나선다.
13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은 현장경찰 보이스피싱 예방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계획을 시행한다.
이번 계획은 최근 조직화·전문화된 보이스피싱 범죄 대응에 있어 현장 경찰들의 이해도와 전문성을 높여 신고 접수 초기 단계부터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특히 피의자들이 피해자 심리를 통제해 경찰의 조치를 거부하면서 피해가 확산되는 사례가 빈번한 만큼 이에 대응하는 방안들도 제시됐다.
우선 수사·112·지역경찰 등 각 기능이 협업해 현장에서 자주 놓치는 사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제작했다. 체크리스트에는 보이스피싱 유형별 수법과 피해자 심리, 사례로 구성된 매뉴얼 등이 포함돼 있으며 과정별 현장대응을 체계화했다.
체크리스트 제작에는 대구경찰청이 지난 3월부터 제작해 활용하고 있는 체크리스트 내용이 반영됐다. 대구경찰청은 체크리스트를 통해 현장 경찰들에 대한 교육과 포상을 강화한 이후 월별 평균 보이스피싱 예방 건수가 9배 증가했고 피해 예방 금액은 26배 늘어나는 등 성과를 보이기도 했다.
![]() |
| 경찰청 [사진= 뉴스핌 DB] |
예를 들어 체크리스트에는 신고 접수시 코드1 이상으로 지정해 대응하도록 하고 과거 신고이력을 확인하도록 했다. 피의자와 피해자간 연락을 막기 위해 데이터와 와이파이를 차단하며 대포폰 개설 가능성도 있는만큼 추가 개통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했다.
특히 피의자에 의해 심리 통제를 당한 피해자가 경찰 조치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피해자를 설득하는데 있어 유의사항도 반영했다.
사건이 종결된 후에는 조치사항을 기재하도록 함으로써 이력을 관리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사건에 대비하도록 했다.
경찰청은 현장 경찰들이 이러한 내용들을 숙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이 이뤄지는 부분에도 초점을 뒀다. 경찰청과 시도청, 경찰서 단위로 교육팀을 구성해 경찰청, 시도청, 경찰서 뿐 아니라 112와 지역경찰, 기동순찰대 대상으로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교육팀은 112나 지역경찰 등 동료 강사와 경찰서 범죄예방계장이나 피싱팀장 등으로 구성한다.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 조치 이행을 독려하기 위해 처벌보다는 포상에 주안점을 뒀다. 우수 사례는 매주 포상을 진행하며 예방 성과가 우수한 경우 내년도 특진 등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향후에는 금융기관과 업무협약(MOU)등을 통해 관련 정보 공유와 포상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갈수록 전문화되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현장 경찰들이 신고 접수 초기부터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하고 심리적 통제를 당한 피해자를 설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며 "관련 내용을 공문을 내려 지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수시로 교육을 진행하면서 현장 경찰이 내용을 숙지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krawjp@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