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국민신문고 민원 데이터 분석 감사 주제 선정
교통안전 민원 30% 차지, 신도시 지역 보행자 안전 민원 급증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 기준 준수, 작동 여부 등 점검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 감사위원회가 11월 10일부터 28일까지 스마트폰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스몸비족' 등 교통약자의 안전을 위한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유지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 |
| 바닥신호등. [사진=경기도] |
도에 따르면 이번 감사는 도민감사관과 함께 수원, 용인, 고양, 화성, 성남, 안산, 안양, 의정부 8개 시에 설치된 바닥형 보행신호등 250개를 대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감사위는 최근 2년간 접수된 국민신문고 민원키워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감사주제를 정했으며, 분석 결과 전체 민원의 30%가 '교통안전'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도시가 많은 지역에서는 보행자 안전과 관련된 민원 키워드가 20~30%를 차지하는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최근 언론에서도 '고장난 채 방치된 바닥형 신호등'과 같은 기사로 바닥형 보행신호등 유지 관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감사위원회는 어린이와 노인 등 교통약자의 보행 안전을 위해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감사 대상으로 선택했다. 각각의 설치 개수와 어린이 보호구역의 교통사고 건수, 국민신문고에서의 민원 건수를 고려하여 8개 지역의 해당 신호등 250개를 검사할 계획이다.
점검 항목으로는 ▲설치 기준 준수 여부 ▲주 보행신호등과 신호 일치 여부 ▲신호등 정상 작동 여부 ▲외관 상태 등이 포함된다.
![]() |
| 바닥신호등. [사진=경기도] |
특히 이번 감사에는 경기도에서 위촉한 도민감사관이 참여하여 현장 중심의 감사 실효성을 높이고, 도민의 생활안전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상섭 경기도 감사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감사는 도민의 민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감사주제를 정한 만큼 더욱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인공지능(AI)을 통한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감사에 임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1141worl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