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고용지표 중단,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
* 'AI MY 뉴스'가 제공하는 AI 어시스턴트가 답한 내용으로, 퍼플렉시티 AI 모델이 적용됐습니다. 상단의 'AI MY 뉴스' 로그인을 통해 뉴스핌의 차세대 AI 콘텐츠 서비스를 활용해보기 바랍니다.
질문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11월7일(현지시각) 10월 고용 지표가 발표되지 않을 전망인데 금융시장은 민간 데이터를 근간으로 고용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 그리고 국채 수익률과 달러화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줘.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11월 7일현지시각 기준 38일째 이어지면서, 10월 공식 고용지표 발표가 중단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금융시장은 민간 통계에 의존해 고용 상황을 파악하고 있으며, 국채 수익률과 달러화 등 주요 금융지표에도 뚜렷한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미 노동통계국의 월간 고용보고서가 발표되지 못함에 따라, 시장은 챌린저·그레이·크리스마스, ADP, 레벨리오 등 민간기관의 고용지표를 사실상 유일한 판단 근거로 삼고 있다.
챌린저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미국 기업 감원 규모는 15만3074명으로 22년 만에 최대치에 달했다. 이는 전월 대비 183% 급증한 수치다.
민간 고용정보업체 ADP는 10월 민간 부문 일자리가 4만2000개 순증했다고 밝혔으나, 감원 속도에 비해 회복세는 여전히 더디다.
![]() |
| 미국의 한 취업 박람회에서 줄을 선 구직자들. [사진=블룸버그] |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은 실업률이 4.4%로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전문가들은 팬데믹 이후 과잉 고용 조정, AI 확산, 소비 둔화, 비용 상승 등이 겹치며 노동시장 약세가 심화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민간 고용지표는 표본과 집계 방식, 범위에서 정부 공식 통계와 차이가 있어,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투자자들은 민간 통계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도, 공식 데이터 부재 상황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과 경기 흐름을 예측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금융시장의 변동성과 불안정성이 확대되고 있다.
셧다운 장기화와 고용시장 둔화 신호가 겹치면서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1월6일(현지시간) 미 10년물 국채수익률은 전일 대비 7bp(0.07%포인트) 내린 4.089%를 기록했고, 2년물과 30년물도 각각 3.562%, 4.686%로 하락했다.
투자자들은 경기 불확실성에 따라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강화하고 있다. 동시에 고용 둔화에 따른 연준의 연내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가 재부상하면서, 달러화는 이틀 연속 약세를 보였다. 달러인덱스는 전일 대비 0.2% 내린 99.935를 기록했고, 유로/달러와 엔화 등 주요 통화 대비 달러 가치가 하락했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 연방기금 선물시장에 따르면, 12월 9~10일 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은 70%까지 상승했다.
이는 고용지표 악화와 셧다운 장기화가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 전환 기대를 자극한 결과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12월에도 0.25%포인트 추가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금융시장 전반의 불안정성 확대주식시장 역시 셧다운의 영향을 받고 있다. 나스닥 지수는 최근 2% 넘게 하락했고, 안전자산 선호로 금값이 소폭 상승하는 등 금융시장 전반에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투자심리 위축과 소비 둔화, 경기침체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모습이다.
공식 고용지표 부재가 장기화될 경우, 민간 데이터의 신뢰성 논란과 시장 불확실성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국채 수익률 하락과 달러 약세 기조는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와 맞물려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투자자들은 민간 고용지표의 세부 내용과 산업별 감원 추이, 연준의 정책 시그널에 주목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안전자산 비중 확대, 환헤지 전략 강화,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셧다운 종료 이후 공식 지표 발표 시점에 맞춰 포트폴리오 재조정, 정책 변화에 따른 시장 반응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인한 공식 고용지표 공백은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을 극대화시키고 있으며, 민간 데이터에 의존한 고용 판단, 국채 수익률 하락, 달러 약세, 연준 금리 인하 기대 등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투자자들은 민간 지표의 한계를 인식하고, 정책 및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higrace5@newspim.com














